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타음 조사 나선다

입력 2020-07-30 14:04:39

현재 상태 점검…향후 안정적 보존 계획 수립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국립경주박물관은 29일 '에밀레종'으로 널리 알려진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의 보존 상태 점검을 위해 타음 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타음 조사는 타종 시 진동과 음향 신호를 바탕으로 고유 주파수를 측정한 뒤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해 구조적인 변화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번 조사에선 고유 주파수를 비롯해 진동음, 진동쌍 모드, 맥놀이 시간 파형과 진동 감쇠비 등을 측정해 기존 맥놀이 지도(2001~2003년 측정)와 비교 분석한다. 맥놀이는 비슷한 두 개의 주파수가 간섭할 때 진동이 주기적으로 커졌다 작아지는 것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타음 조사 기간은 2022년까지 3년 간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진동이나 음향이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한 점을 고려해 날씨 변화를 검토한 뒤 확정할 예정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성덕대왕신종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고 향후 안정적인 보존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조사를 위해 녹음되는 성덕대왕신종 종소리는 향후 음원 공개 및 실감형 종소리 공간 구성 등 다양한 형태로 국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