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목표 고도 도달, 비행 종료…위성 13기 분리 확인

입력 2025-11-27 01:14:42 수정 2025-11-27 01:51:3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무게 516㎏ 주탑재위성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무게 516㎏ 주탑재위성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부탑재위성 12기 등 총 13기 위성이 실렸다. 연합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오전 1시 13분 발사된 뒤 1시 25분 목표 고도인 지상 600.2㎞에 도달해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 분리에 성공했다.

이후 2기씩 20초 간격으로 큐브위성 12기를 모두 분리하며 위성 궤도 진입 임무를 마쳤다. 누리호의 비행은 오전 1시 31분 종료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은 누리호 비행 데이터를 분석해 발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누리호는 당초 발사 예정 시간인 0시 55분보다 18분 늦어진 오전 1시 13분 발사됐다. 엄빌리컬 회수 압력 센서의 신호 이상이 감지됐는데, 현장 확인 결과 압력은 정상이며 센서만의 문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4차 발사는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과 총조립, 참여업체 관리 등 발사 전 과정을 주관했다. 이전 1~3차 발사는 정부 주도 아래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총조립과 탑재체 결합을 책임졌지만, 이번 4차 발사는 민관 협업 모델로 진행됐다.

이는 누리호 역사상 첫 민간 주도형 발사이자, 향후 상업 발사 서비스 시대를 준비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이번 4차 발사는 총 13개 위성이 탑재되며, 지난 발사보다 위성 수와 임무가 크게 늘었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오로라와 대기광 관측 장비, 우주 3D 바이오 프린팅 장치, 플라즈마·자기장 측정 장비를 실어 우주 날씨 연구를 수행한다.

작고 간단한 실험용 위성인 큐브위성은 기존 7기에서 12기로 확대됐다.

민간 주도 제작 경험, 새벽 발사 운용, 다중 위성 탑재 등 모든 과정은 향후 한국 발사체 개발과 상업 발사 서비스 확대를 위한 중요한 데이터와 경험으로 활용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