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초기대응 체계 확립을 위한 진압장비, 팔공산 수태골서 현장 실증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최근 건조일수 및 지역 내 산불 발생 위험 증가에 대비하고자 산불 초기 대응 장비에 대한 현장 실증 실험을 팔공산 수태골 일원에서 실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실증 실험은 지형에서 장거리 산불 대응의 핵심 요소로 꼽히는 산불 진화 호스릴의 신속한 전개성, 험지펌프차량을 활용한 최적의 소방호스 운용체계, 전개 거리 변화에 따른 방수압력과 방수 안정성 등을 정밀하게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또 산불 현장에서의 대응 장비 전반을 정책적 관점에서 재검토하고, 실제 지형·기상 조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됐다.
이와 함께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최근 산불 위험도가 높아짐에 따라 현장 중심의 산불 대응훈련을 지속적·체계적으로 확대해 추진하고 있다.
각 소방서가 담당한 지형 특성을 반영한 상황별 대응훈련, 초기 진입부대 전술 숙달 훈련, 장비 운용능력 강화 교육 등을 연중 실시하며 대응력을 높여 왔다.
이번 실증 또한 이러한 대응훈련의 연장선으로, 화재현장 전략혁신 TF와 산불 담당자와도 협업해 산불 대응정책을 과학적으로 정립하는 데 나서고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이번 실증 결과를 초기산불 대응체계 개선은 물론, 장비 운영체계의 구조적 보완, 현장 중심 교육훈련 체계 고도화 등 정책 전반에 반영할 계획이다.
엄준욱 소방안전본부장은 "초기산불 대응력 강화는 지역 안전을 지키기위한 핵심 정책과제다. 변화하는 산불 양상에 적합한 대응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