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값 상승 여파로 값싼 중국산 수요 늘어
정부 "김치산업을 전략 수출산업으로 육성"
올해 김치 수출액이 또다시 최대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하지만 값싼 중국산 김치 수입이 함께 늘면서 무역적자는 더 커지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24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김치 수출액은 1억3천739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늘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억5천946만달러로 3.1% 증가했다. 수출과 수입이 나란히 증가한 결과 김치 무역수지는 2천207만달러 적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확대됐다.
김치 수출은 최근 몇 년 새 꾸준히 성장해왔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식 관심이 높아지고 'K-푸드' 인기가 커지면서 수출액은 지난해 1억6천357만달러, 2023년 1억5천560만달러, 2022년 1억4천812만달러 등 해마다 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도 지난해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최대 수출국은 일본이다. 1~10월 일본 수출액은 4천755만달러로 4.4% 증가했다. 미국은 3천601만달러로 5.8% 줄었다. 네덜란드는 797만달러로 3.3% 감소했고 캐나다는 763만달러로 17.6% 증가했다. 호주는 668만달러로 0.9% 늘었다.
반면 중국산 김치 수입은 계속 늘고 있다. 국내 배추값이 지난해 이상기후 여파로 치솟은 데 이어 올해도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값싼 중국산으로 외식업체와 가공식품업체의 수요가 이동했다. 중국산 김치는 국산 가격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1억8천986만달러로 전년 대비 16.1%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올해도 증가 흐름이 이어졌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배추 가격이 오를 때 업체들이 중국산으로 한번 갈아타면 다시 국산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값싼 수입 김치 의존이 고착되면 국내 김치산업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역시 김치 수출 확대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인다는 방침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21일 '김치의 날' 기념식에서 "김치산업을 미래 수출형 전략산업으로 도약시키고 세계 시장에서 확고한 브랜드로 자리 잡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