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민변 주도 간담회, 공문도 없이 강행
"주민 접근까지 막았다"… 절차 무시·여론 왜곡 논란 확산
"실제 현장은 달라졌다"… 제련소 환경 개선·지역 민심 강조
경북 봉화군 석포면과 강원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가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석포 간담회를 두고 "주민을 완전히 배제한 채 왜곡된 여론을 국제기구에 전달했다"며 강한 어조로 문제를 제기했다.
앞서 공투위는 지난 13일 피차몬 여판통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위원장에게 이메일을 보내 "석포에서 살아가는 주민의 실제 의견을 직접 확인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공투위는 지난 21일 공식 입장에서 "간담회는 처음부터 끝까지 주민 배제였다"고 지적했다. 지난 1일 피차몬 위원장이 석포를 찾았을 당시 정작 석포 주민들에게는 아무런 안내도 없었고, 주민들이 뒤늦게 모여 의견을 전하려 하자 민변 소속으로 보이는 인사가 접근을 막아 서류 전달조차 가로막았다는 것이다. 공투위는 이를 "의도적 차단"이라고 규정했다.
절차 역시 부실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공투위에 따르면 환경단체는 간담회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정식 공문도 없이 메신저 메시지로 석포면사무소 회의실 사용을 요청했으며, 주민 대상 안내는 단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 간담회 사실을 뒤늦게 알고 모여든 주민 60여명은 끝내 행사장에조차 들어가지 못했다.
공투위는 "이런 방식이라면 UN에 전달되는 정보가 얼마나 왜곡되겠느냐"며 "특정 단체의 일방적 주장이 지역 전체 여론인 것처럼 포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서한에서는 영풍 석포제련소의 최근 환경 개선 노력도 강조했다. 제련소는 2019년 이후 폐수 외부 무방류 시스템과 오염 확산 방지시설 등 환경 개선에 약 5천200억원을 투입했으며, 상·하류 수질이 기준을 충족하고 멸종위기 1급 수달과 다양한 어종이 인근 하천에서 확인되는 등 현장의 변화가 뚜렷해졌다는 것이다.
또 주민들은 제련소 이전 논의로 지역 경제가 흔들리는 상황도 짚었다. 지난 9월 500여명이 참여해 이전 철회를 요구한 집회는 "지역민들의 실제 민심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사례"라는 설명이다.
공투위는 민변에 대해 "국제기구와 소통하면서 특정 단체의 주장만 전달하는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절차적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압박했다. 아울러 이번 주민 배제 경위에 대한 철저한 사실 확인과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공투위는 "민변·환경단체·주민이 모두 참여하는 공식 간담회가 열린다면 언제든 참여할 준비가 돼 있다"며 "주민을 배제하는 간담회는 더 이상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