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만에 찾은 신정동 연쇄살인범…10년전 이미 사망했다

입력 2025-11-21 20:42:52 수정 2025-11-21 21:58:4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신재문 팀장이 21일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마포청사에서 양천구 신정동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범인 특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신재문 팀장이 21일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마포청사에서 양천구 신정동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범인 특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제로 남아있던 2005년 서울 양천구 신정동에서 발생한 여성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이 20년 만에 확인됐다. 범인은 이미 10년전 사망한 남성으로 파악됐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21일 브리핑을 열고, 사건의 피의자를 사건 당시 60대 남성이었던 A씨로 특정했다고 밝혔다.

신정동 일대에서는 2005년 6월과 11월, 20대 여성과 40대 여성이 각각 숨진 채 발견됐다. 피해자들은 목이 졸린 상태였으며 머리에는 검은 비닐봉지를 뒤집어쓴 채, 쌀 포대나 돗자리에 노끈으로 묶여 있었다. 경찰은 두 사건이 동일범의 소행으로 보고 8년간 수사를 이어갔으나,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해 2013년 미제로 전환됐다.

2016년 서울경찰청이 미제사건 전담팀을 신설하며 수사가 재개됐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재감정 결과, 두 사건의 현장 증거물에서 동일한 DNA가 검출되며 같은 인물의 범행임이 확인됐다.

경찰은 피해자 시신에서 발견된 모래에 주목해 서남권 공사 현장 관계자 및 인근 주민 등 23만여 명을 수사 대상으로 삼고, 1천514명의 DNA를 채취해 대조했으나 일치하는 인물을 찾지 못했다. 이후 사망자를 포함한 56명을 후보군에 올려 추가 검토했고, 신정동의 한 빌딩에서 근무했던 A씨를 유력 용의자로 좁혔다.

양천경찰서 기록보관실을 재조사하던 중, A씨가 사건 발생 이듬해인 2006년 강간치상 혐의로 현행범 체포됐던 사실이 확인됐다. 그러나 A씨는 2015년 이미 사망했고, 화장돼 유골 확보가 불가능했다.

경찰은 A씨가 생전에 다녔던 병의원 40여 곳을 탐문 조사해 한 병원에서 보관 중이던 검체를 확보했고, 국과수 감정 결과 피해자 DNA와 일치한다는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A씨는 사건의 범인으로 특정됐다.

수사 결과, 피해 여성들은 A씨가 관리인으로 일하던 빌딩을 방문했다가 지하 창고로 끌려가 성폭행을 당한 뒤 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이후 피해자 시신을 쌀 포대 등으로 감싸 인근 골목에 유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사건은 과거 '엽기토끼 살인사건'으로 알려졌지만 경찰은 "범행 장소와 시기가 비슷해 혼동이 있었으나 두 사건은 동일범 소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른바 '엽기토끼 살인 사건'이 발생한 당시 A씨는 이미 수감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A씨가 사망한 만큼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을 종결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살인범은 저승까지 추적한다는 각오로, 앞으로도 장기 미제 사건에 대해 끝까지 진실을 밝히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