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호강 생태전망대·수성못 수상공연장, 해결 묘책 찾아야

입력 2025-11-13 05: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 수성구청의 금호강 생태전망대 조성 사업이 하천 점용(占用) 허가를 받지 못해 사실상 무산됐다. 관계 기관과 사전 협의가 원활하지 않아 예산만 낭비한 꼴이 됐다. 수성구청이 추진하는 수성못 수상공연장 사업에서도 사업비 마련 방안, 운영계획 등이 허술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수성구청은 매호동 금호강 변에 금호강 생태전망대를 짓는 사업을 추진했는데,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의 하천 점용 허가를 받지 못했다. 구청과 낙동강환경청 간 사업 부지(敷地)에 대한 사전 협의가 치밀하지 못한 탓이다. 구청은 해당 사업이 차질을 빚으면서, 사업비 5억원 중 국비 4억5천만원을 반납하게 된 것은 물론 용역비 5천만원을 헛쓰게 됐다.

수성구청이 '수성못 축조(築造) 100주년' 사업의 하나로 추진하는 수성못 수상공연장 사업에 대한 논란도 있다. 구청은 수성못에 300억원을 들여 2천 석 규모의 수상공연장을 만들기로 했지만, 예산 조달 및 공연장 운영 관련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공연장 조성에 필요한 부지 활용과 관련한 농어촌공사와 협의도 진전이 없는 상태다. 구청은 거문고 체험 프로그램에 쓴다는 이유로 거문고 구입비(2천만원)를 추경(追更)안에 넣었다가,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사업'이란 구의회의 지적을 받기도 했다.

수성구청이 지역 발전과 주민 복리(福利) 증진을 위해 사업을 벌이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의욕만 앞세우면 곤란하다. 게다가 올해 80억원의 세수 결손이 생길 정도로 구의 재정은 빈약하다. 구청은 재정 형편과 사업의 중요도를 감안해 신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