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아동보호구역 '제로(0)'"… 김세연 시의원 5분 발언 통해 "지속 가능한 안전망 구축하라" 촉구

입력 2025-10-26 10:28:4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아동 유괴·미수 사건 급증 속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무색… AI·드론 활용 예방시스템 제안

김세연 영주시의원.
김세연 영주시의원.

경북 영주시의회 김세연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지난 24일 열린 제276회 영주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아동 대상 범죄가 잇따르며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영주시에는 단 한 곳의 아동보호구역도 지정돼 있지 않다"며 "일회성 캠페인보다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전국에서 319건의 유괴 및 유괴미수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중 77.9%가 미성년자 대상이었다"며 "경북 지역에서도 12건의 유괴와 4건의 미수 사건이 발생해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를 표방하는 영주시가 아동보호구역 한 곳조차 지정하지 않은 것은 도시의 위상에 맞지 않는다"며 "시급히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아동복지법 제32조에 근거한 아동보호구역은 납치·유괴·성폭력 등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인 만큼, 영주시가 추진 중인 '온디바이스 AI 서비스 실증·확산 사업'을 활용해 AI CCTV와 드론 기반의 범죄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면 예산 절감과 정책 홍보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공원과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아동보호구역을 시범 지정하고, 노인 일자리나 퇴직 공무원을 활용한 '아동안전지킴이' 제도를 도입, 시민 대상 홍보 강화 등을 병행해 추진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세연 의원은 "아동보호구역 지정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지역사회가 아동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이라며 "아이와 부모 모두 안심할 수 있는 '안전도시 영주' 실현을 위해 집행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