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불났다하면 대형참사…李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변수로

입력 2025-09-28 17:30:00 수정 2025-09-28 19:07:16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열 폭주' 리튬이온배터리 단시간 진압 사실상 불가능
재생에너지 간헐성 극복 위한 ESS 보급 확대 계획 차질 전망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에서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꾀하는 이재명 정부의 계획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8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완전히 진화되는 데까지 22시간이나 걸렸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화재 발생시 다량의 물을 뿌리거나 수조에 담가 냉각시키는 것이 유일한 대응책으로 진압에 어려움이 크다.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내세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초대용량 배터리'인 에너지저장장치(ESS)도 대폭 늘릴 계획이다. 날씨에 따라 전력생산량 변동 폭이 큰 재생에너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현재 대다수의 ESS에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된다.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2038년까지 약 23GW(기가와트) 규모의 장주기 ESS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2029년까지 2.22GW 규모 ESS를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앞으로 ESS 설치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설치 목표를 올려잡을 방침이기 때문이다. 이미 국회에 올해 하반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와 제6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목표치를 높이겠다고 보고한 바 있다.

현행 11차 전기본상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목표는 78GW이다. 다만 최근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수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환경부는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100GW로 상향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2035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최소 130GW'에서 '최대 160GW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할 방안으로 'ESS 등 유연성 자원 확대'를 제시했다.

올해 5월 고려대 연구진은 2030 NDC를 확장, 2036년까지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4.4% 감축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풍력과 태양광 발전 용량을 각각 약 64.7GW와 72.3GW 등 약 137GW로 늘려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결국 ESS 용량을 2036년 기준 30GW로 현재(2023년 4.4GW)보다 6배 넘게 늘려야 한다.

문제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ESS 주민 수용성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재생에너지 사업은 이미 설비 설치·운영 과정에서 주민 수용성이 낮은 편이다.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ESS 화재 위험성이 재부각되면서 ESS 보급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작년 6월까지 ESS 화재는 총 55건 발생했다. 또 배터리 화재는 2020년 292건, 2021년 319건, 2022년 345건, 2023년 359건, 2024년 543건 발생했으며 올해는 상반기에만 296건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