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실적 왜곡됐다"…市民 "혈세 관리 허술"
경북 안동시가 '전국 최하위 금리 금고'라는 불명예를 뒤집어쓰며 거센 비판을 받았지만, 실제 성적은 전국 상위권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단순한 행정 착오에서 비롯된 오해라고 해명했지만, 시민 불신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대통령까지 나서 전수조사를 지시하면서 안동은 지방재정 부실 관리의 상징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착오에서 비롯된 '꼴찌 금리' 논란
논란은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에서 비롯됐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안동시는 농협·신한은행을 시금고로 운영하며 불과 0.09%의 금리만 적용받아 6억원대의 이자 수익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243개 지자체 중 242위라는 사실상 '꼴찌' 수준이라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협상력 부족으로 시민 혈세를 허공에 흘려보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하지만 안동시는 당시 즉각적인 반박을 내놓지 않았다. 뒤늦게 대통령이 전수조사를 지시하자 그제야 반박에 나섰다. 시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금고 이자수익은 280억원, 지난해는 318억원으로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예치금 대비 수익률 역시 전국 상위 10% 안에 드는 수준이었다. 국감 과정에서 담당 직원이 '이자수익'과 '세외수입'을 혼동해 잘못 기재했을 뿐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꼴찌 금리'라는 보도는 착오에서 비롯된 허상이라는 주장이다.
◆대통령 지시와 커지는 시민 불신
하지만 시민들은 쉽게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지방정부 금고 운영과 이자율을 전수조사하라"고 지시한 상황에서, 안동시는 책임론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전국 지자체의 금고 운영 실태가 공개되면 단순 착오라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행정 신뢰성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시민 권모(65) 씨는 "수치 하나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채 국회에 제출했다는 게 더 큰 문제"라며 "이번 일은 돈을 얼마나 벌었느냐가 아니라 행정을 시민이 믿을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시민은 "착오라고 하지만 이미 시민들은 '안동이 금리 꼴찌'라는 인식을 가졌다"며 "뒤늦은 해명으로는 불신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결국 이번 사태의 핵심은 '숫자의 오류'가 아니다.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그리고 시민의 신뢰 회복이 관건이다. 안동의 해명이 진실로 받아들여질지, 아니면 불신을 키우는 또 다른 상처로 남을지는 앞으로의 대응에 달려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