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장기 사용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첫 역학증거 제시"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 장기사용이 폐암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증거가 처음 나왔다.
김경남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한국역학회지' 최근호에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입고 정부 보상을 신청한 3천605명의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에 따른 폐암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사용 기간이 30개월 이상일 경우 5개월 미만 사용자에 비해 폐암 위험이 4.6배에 달한다고 결론냈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을 △5개월 미만 240명 △5∼14개월 909명 △15∼29개월 934명 △30개월 이상 1천522명 등 네 그룹으로 나눈 뒤 폐암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3천605명 중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지 4년 후 폐암으로 진단된 피해자는 121명이었다.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별 폐암 환자 수는 △5개월 미만 2명 △5∼14개월 14명 △15∼29개월 23명 △30개월 이상 82명이었다.
30개월 이상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다는 비율은 폐암 환자에서 67.9%(82명)로, 폐암으로 진단되지 않은 피해자 그룹의 41.3%(1천440명)에 비해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과 폐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별과 연령, 교육 수준, 흡연 상태, 가습기와의 거리 등 질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요인을 보정해 분석했다.
그 결과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 5개월 미만 그룹을 기준으로 했을 때 사용기간이 30개월 이상인 그룹의 폐암 위험은 4.6배, 15∼29개월 그룹은 2.45배, 5∼14개월 그룹은 1.81배였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의 장기간 사용이 폐암 발생의 위험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는 기존의 동물 실험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장기간 가습기살균제 사용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적 증거를 제시한 첫 사례"라면서도 "결과를 확증하기 위해서는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11년 세상에 드러난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현재까지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만 5천908명에 달하는 최악의 환경 참사다.
정부는 이번 달 초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대표와 간담회를 진행하고 사과와 함께 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지난해 6월 대법원은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국가도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고, 정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종국적 해결'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尹 병원 진료 중 수갑·전자발찌 착용... "특혜 시비 차단"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사면' 윤미향 "할머니들 잊지 않겠다, 위안부 문제 원칙 세우고 길이 되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