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신도시, 어설픈 도시계획 탓에 '상권 3분할'…유동인구 분산으로 오히려 활력 ↓

입력 2025-08-12 17:11:38 수정 2025-08-12 21:42:39

높은 인구밀도에도 상권 분산·물리적 단절로 공동화 심화…2단계 개발 시 경쟁 격화 우려

11일 오후 6시 40분, 경북도청 신도시 중심 상권. 퇴근시간이 훌쩍 지난 시간이지만 식당은 물론 길거리에도 사람이 없어 썰렁한 분위기다. 윤영민 기자
11일 오후 6시 40분, 경북도청 신도시 중심 상권. 퇴근시간이 훌쩍 지난 시간이지만 식당은 물론 길거리에도 사람이 없어 썰렁한 분위기다. 윤영민 기자
경북도청 신도시 내 각 상권은 산과 숲으로 가로막힌 호명읍 상권, 중심상권, 도청서문상권으로 나뉘어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청 신도시 내 각 상권은 산과 숲으로 가로막힌 호명읍 상권, 중심상권, 도청서문상권으로 나뉘어 있다. 경북도 제공

11일 낮 경북도청신도시 내 상가 일대는 점심시간임에도 활기를 찾기 어려웠다. 이곳 상가들이 신도시 1단계 중심 상권과 도청 서문 상권, 호명읍 상권 등 3곳으로 쪼개져 있는 탓이다.

점심시간이 시작되자 도청·경북경찰청 등 공공기관 직원들이 삼삼오오 식당가로 향했지만, 각 상권마다 규모가 작아 붐비지는 않았다. 그나마 공무원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오후 1시쯤에는 삭막감마저 감돌았다. 도청 중심 상권은 점심시간에도 문을 연 식당이 적어 공무원 발길조차 뜸했다. 학원과 병원을 찾는 학생이나 주민들만 드물게 오갔다.

경북도청 신도시가 구조적인 상권 분리 문제로 활력을 잃고 있다. 좁은 부지에 3곳으로 상권이 나뉘면서 높은 인구밀도에도 수요가 분산돼 곳곳이 '텅 빈 거리'로 변하고 있다.

◆상권 '공동화' 몸살

안동과 예천이 함께 생활권을 공유하는 경북도청 신도시는 3단계 개발 목표로 순차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계획도시다. 1단계 부지(면적 4.258㎢) 조성 10년이 지난 현재 신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2만명 수준이다. 인구밀도는 1㎢당 약 4천700명 수준으로 전국 지방 중소도시 기준 2~3배, 경북 시군 평균 기준 34배로 높은 수준이다.

높은 인구밀도에도 불구하고 신도시는 상권 공동화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좁은 부지에 제한된 인구에도 상권이 크게 세 곳으로 분산돼 있어서다. 각 상권을 이용하는 유동 인구가 턱없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부채꼴형으로 설계된 중심상권 도로에서 곤충의 더듬이 같은 곡선의 도로가 양쪽으로 뻗어나가는 기형적인 도로망도 문제다. 각 상권의 접근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유동인구의 자연스러운 이동까지 가로막고 있다.

◆상가 공실 심화 우려↑

경북도에 따르면 신도시 내 중대형·집합상가 평균 공실률은 올해 6월 기준 30.7%에 달한다. 2~4층을 주거용으로, 1층을 상가로 둔 건물이 대부분인 도청 신도시의 특성상 소형 상가까지 포함하면 실제 공실률은 이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근 상인들은 이 같은 상가 공실 원인으로 어설픈 도시계획을 꼽는다. 자연 친화적 도시를 목표로 기존 숲을 보존한 채 개발이 이뤄지다 보니, 상권 사이가 산과 숲으로 물리적으로 가로막혀 있다는 것이다.

상인들은 "'十(열십자)'자 형태의 직선 도로망을 갖춘 일반적인 계획도시와 달리, 부채꼴형 중심상업지구를 중심으로 곡선 도로가 뻗어 나가는 구조여서 상권 간 연계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2단계 개발이 본격화되면 새로운 상권이 추가로 형성돼 기존 상권과 경쟁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현재도 소비력이 세 갈래로 갈라져 각 상권이 활력을 잃고 있는데, 신규 상권까지 더해지면 기존 상권의 생존마저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경북도는 2단계 개발 부지에는 공동 주택들이 많아 신규 상권이 크게 형성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2단계 부지에 도시가 활성화되고 인구가 늘어난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며 "도는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고, 안동과 예천에서는 각각 소상공인들을 위한 지원 정책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