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발언 뒤늦게 알려져
과거 여러 정치권 인사들을 겨냥한 거친 언행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이번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던 이용수 할머니를 비판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31일 TV조선에 따르면,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는 5년 전인 2020년 기자회견을 통해 정의연(당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이 모은 후원금 사용처가 불투명하다는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당시 "전국의 할머니들을 위해 모금된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 발언에 최 처장은 "나는 윤미향을 지지한다"며 이용수 할머니를 비판했다. 그는 이 기자회견을 두고 "친일 독재세력이 문재인 정부를 흠집내려는 X수작의 일환"이라며 "할머니의 말을 들으면 스스로 그런 행사를 기획하거나 기자회견을 할 수 있는 분이 아니다. 대부분의 말이 횡설수설에 가깝다"고 했다. 이어 "피해자라고 해서 절대선일 수는 없다. 자신의 감정적 느낌을 토로하고 있을 뿐이다"라고 했다.
당시 일각에서 제기됐던 '배후설' 등 음모론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해석된다. 이용수 할머니는 '배후설' 등에 대해 2차 피해를 호소했다. 당시 이 할머니는 CBS 라디오에 출연해 "분명히 백 번, 천 번 얘기해도 저 혼자 했다. 아무도 여기에 가담한 사람이 없었다"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윤 전 의원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 시절 후원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은 2020년 5월 이용수 할머니가 처음 제기했다. 검찰은 같은 해 9월 윤 전 의원을 업무상 횡령, 사기 등 8개 혐의로 재판에 넘겼고, 대법원은 지난해 11월 정대협 기부금 8000만 원을 횡령한 혐의와 여성가족부 보조금 6520만 원을 불법 수령한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해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확정했다. 그 사이 윤 전 의원은 국회의원 임기 4년을 모두 채웠다.
앞서 최 처장은 지난 29일 과거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언론에 사과문을 배포하고 "우리 사회와 고위공직자들의 여러 문제점을 직시해왔고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비판해왔다"며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일부 거친 표현이 여러분에게 심려를 끼쳤다"며 "다시 한번 더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이제는 제가 인사혁신처장 직무를 맡은 고위공직자가 되었으니 여러분의 비판을 받아들여야 할 시간이 된 것 같다"며 "앞으로 제가 잘못하는 것이 있다면 여러분의 비판을 겸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더욱 신중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의 눈높이에 걸맞은 공직자의 자세를 갖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