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공식 석상에 등장한 딸 주애가 아버지 키만큼 훌쩍 자란 모습을 공개하면서, 북한 사회에서는 때 아닌 한국 '텐텐' 열풍이 불고 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후지뉴스네트워크(FNN)에 따르면 김주애는 지난달 24일 강원도 원산갈마관광지구 준공식에 김정은 위원장과 나란히 참석했다. 당시 흰색 투피스 차림에 힐 샌들을 신은 김주애는 아버지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큰 키로 행사장 중심에 섰다.
2022년 11월 북한 언론에 처음 등장했을 당시만 해도 김정은 위원장의 어깨 높이에 머물렀던 키는 불과 2년여 만에 20㎝ 가까이 자란 것으로 추정된다. 김주애는 2013년생으로 알려져 있어 올해 나이는 13세 전후다. 김주애는 이미 165㎝를 넘은 것으로 보이는데, 비슷한 연령대 북한 어린이의 평균 신장이 약 142㎝로 알려진 것과 비교하면 성장이 빠른 셈이다.
김주애가 훌쩍 자란 모습은 북한 주민들의 자녀 성장과 발육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한국산 영양제 '텐텐'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중국의 영양제보다 한국의 영양제 쪽이 효능이 높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당 간부나 부유층이 해외를 통해 구해오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 영양제는 중국에서도 '마미아이'라는 제품명으로 인기리에 판매 중이다. 중국에서 북한으로 들어가는 '텐텐'은 포장이 모두 벗겨진 채로 유입되고 전문 판로가 조성돼 북한 전역으로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 2만5천원가량에 판매되는 이 영양제는 북한 내부에서는 세 배가 넘는 500위안(약 10만) 선에서 거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주민들은 무역 관계자나 해외 출입이 잦은 간부에게 부탁해 키가 크는 약을 주문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에서는 '키(신장)'는 곧 사회적 지위와 연결된다는 인식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남성의 키가 작은 경우 군 입대가 제한되거나 건설 돌격대, 농장 등 비교적 기피되는 직종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식량난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가 영양제는 일부 특권층의 전유물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FNN은 "주애의 키는 단순한 성장의 표시가 아니라 일반 주민들과 다른 '특별한 존재'이며 특권과 위신의 상징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준비된 대통령 맞나" "문전박대"…'한미 2+2 협의' 취소통보에 국힘 총공세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