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미국에 69조원 투자…트럼프 '의약품 관세' 앞두고 제조·R&D 확대

입력 2025-07-22 17:30:58 수정 2025-07-22 20:36:23

"2030년까지 美에 500억달러 투입"…글로벌 제약사들 생산기지 선점 경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국빈 식당에서 가봉,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모리타니, 세네갈 등 아프리카 5개국 정상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국빈 식당에서 가봉,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모리타니, 세네갈 등 아프리카 5개국 정상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의약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이후, 영국계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미국 내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21일(현지시간) 2030년까지 총 500억 달러(약 69조원)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 신약 생산 및 연구개발(R&D)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회사는 특히 버지니아주에 새로운 제조시설을 건립하고, 메릴랜드·매사추세츠·캘리포니아·인디애나·텍사스 등 5개 주에서 세포 치료제 생산과 임상시험 공급망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투자로 수만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에서 약 1만8천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9만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이 같은 결정은 미국 행정부의 강경한 무역 정책과도 무관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외국에서 수입되는 의약품에 대해 낮은 세율로 관세를 시작한 뒤, 미국 내 생산 시설을 마련할 시간을 준 후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사실상 압박한 것이다.

미국은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의약품 시장으로, 연간 시장 규모는 6천350억 달러(약 880조원)에 달한다.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지난해 매출의 40% 이상을 미국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미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고자 하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투자 행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11월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내 35억 달러 투자 계획을 별도로 발표한 바 있다.

이외에도 로슈, 노바티스, 일라이릴리, 존슨앤드존슨, 사노피 등 다른 글로벌 제약사들 역시 미국에서의 생산과 연구개발을 확대 중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아스트라제네카의 성명에 대해 "미국 국민이 수십 년간 해외에 의존해온 의약품 공급 구조를 바로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컬런 헨드릭스 선임연구위원은 같은 날 공개한 기고문에서 "동맹국들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은 미국의 안보 네트워크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