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16일 "지금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며 과거 교수 시절 작성한 논문들에 제기된 표절 의혹을 부인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2007년부터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와 함께 검증했다.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 논문들을 저도 카피킬러로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며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간다. 그래서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특히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고도 했다.
그는 또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엔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끼리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 저자를 결정한다.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발표 순서"라고 했다. 이어 "그래서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지도 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 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는 "저는 제자와 같이 공동으로 연구한 논문에서 제1 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30% 정도"라며 "나머지 70%는 제자와 공동 연구 혹은 참여 연구 형태로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두 딸의 조기 유학 논란에 대해서는 고개를 숙였다. 그는 "2001년부터 1년간 방문연구원으로 미국에 체류한 것이 계기가 돼 아이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강력하게 희망했다"며 "큰아이가 아주 오랜 기간 미국에서 공부하길 희망했다. 많이 말렸지만 워낙 의지가 강해 이기지를 못하고 아이의 청을 들어줬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후보자의 차녀의 경우 한국에서 중학교 3학년 1학기만 마치고 유학을 가 법령을 위반했다는 점이 논란이 됐다. 이 후보자는 이에 대해 "미국 학제 상 9학년부터 고등학교여서 큰아이는 고1 때 갔는데 1년 반을 더 고등학교에 다니게 됐다"며 "둘째 딸은 언니를 따라갔는데 (큰아이처럼) 1년 반이나 뒤로 물러나게 되는 것만 생각했다. 그때는 (중학교 과정을 마치지 않고 유학을 가는 것이) 불법인지조차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불법을) 인지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저의 큰 실수였다"며 "국민께 정말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