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트럼프 1기 이후 미국 수입시장 수출 경합 구조 변화 및 시사점'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미국 시장이 축소되고 국가 간 경쟁 구도가 재편되면서 한국산 제품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트럼프 1기 이후 미국 수입시장 수출 경합 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를 2일 발간했다.
'트럼프 효과'가 본격화된 올해 1∼4월 미국의 전체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9.2% 증가하며 1∼4월 누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 기간 미국의 수입 상위 10개국 중 한국(-5.0%)은 중국(-0.9%)과 함께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다.
멕시코(6.3%), 캐나다(1.9%), 아일랜드(120.2%), 스위스(344.3%), 독일(3.4%), 베트남(39.4%), 일본(3.4%), 대만(52.2%), 인도(29.0%) 등 대부분 국가의 대미 수출이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이에 따라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 순위는 작년 7위에서 올해 10위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의 품목 관세가 부과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이 기간 한국의 대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4억3천만달러 감소했으며 기계류(-5억7천만달러, 화학공업(-4억2천만달러), 반도체(-3억8천만달러) 등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무역협회는 일본·독일은 자동차·자동차 부품뿐 아니라 기계류, 전기·전자제품 등 한국과 매우 유사한 대미 수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향후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경합도가 달라질 여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김문수 "전한길, 장동혁 지지? 말 몇마디·혓바닥에 놀아나는 판단 옳지 않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