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연장 없다"…일본에 35% 부과 가능성 시사

입력 2025-07-02 17:33:17

日 협상 태도에 불만…"잘못 길들여져 합의 어려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캐나다 캐내내스키스에서 회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캐나다 캐내내스키스에서 회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유예 기간 연장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밝혔다. 그는 플로리다주를 방문한 뒤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내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여러 나라에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백악관 공동취재단이 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9일, 한국과 일본 등 57개 경제주체를 상대로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그러나 발효 13시간 만에 90일 유예 조치를 시행했고, 그 기한이 오는 7월 8일 종료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특히 일본과의 무역 협상을 지적했다. 그는 "일본은 매우 터프하고, 지난 수십 년간 미국으로부터 너무 많은 것을 가져갔다"며 "그들은 미국과의 합의에 익숙하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 대해 "좋아하는 인물이지만, 일본과의 협상은 매우 어렵다"고 평가했다.

일본과의 무역 불균형 문제에 대해서도 거듭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은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미국에 수출하면서도, 미국산 차량은 거의 수입하지 않았다"며 "쌀 등 필수 품목조차 미국산을 들여오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에 보낼 서한에는 30%나 35%의 관세 부과 방침을 담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무역 조정 대상은 일본뿐만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국가는 미국과의 무역 자체를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대다수 국가에는 한 페이지짜리 단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유예 종료 이후 개별 국가에 관세율을 일방 통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에 대해 "바보"라고 비난하며 불만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는 "파월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있다"며 차기 의장 후보군으로 2~3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회 정치에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자신이 추진한 감세 법안에 반대표를 던진 공화당 소속 토머스 틸리스 상원의원(노스캐롤라이나)이 재선에 불출마할 경우, 며느리 라라 트럼프가 "훌륭한 후보"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