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 제공받은 방공 무기체계
北, 러 파병 이후 경제적·군사적 이득
적대국으로 선언한 한국에는 위협적
북한판 아이언돔 '판치르 S-1'이 이미 평양 방어에 활용하고 있다는 정보가 우크라이나에서 나왔다. 우크라이나 키이우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이 현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판치르 S-1'은 러시아가 개발한 대표적인 방공 체계로 레이더 감시를 토대로 지대공 유도미사일, 대공포 등으로 구축한 방어 시스템이다. 부다노우 국장은 "첫 번째 판치르는 이미 평양에 설치돼 수도 방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북한 인력들을 재교육하고 있고, 곧 북한이 이 기술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북한의 판치르 도입은 러시아와 군사적 협력이 심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을 통해 최첨단 군사력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우크라이나전에 파병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무기체계와 군사기술을 지원받는 데다가 전쟁의 실전 경험도 쌓았다. 러시아는 북한에 첨단 전자전 체계를 제공하고 최신 군함 건조를 지원하는 한편, 단거리 탄도미사일 KN-23 개량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전해진다.
부다노우 국장은 러시아가 북한에 이란제 자폭 드론(무인항공기) 제조 기술을 이전하고 있다고 지난달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또, 부다노우 국장은 양국의 협력 속에 러시아 내 북한 주민 수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이들 중 일부가 러시아군에 자원입대하는 형식을 취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이 공식 파병 대신 시민 개개인의 자원입대 형식으로 러시아에 병력을 지원하려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후 양국관계를 안보동맹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밀착관계 지속에 대한 거듭된 의지 표명 속에 북한은 지난달에도 공병 병력과 군사 건설 인력 총 6천명을 추가로 보내기로 약속했다. 북한은 러시아 파병 이후 직접적 경제적 보상뿐 아니라 군사적 협력을 통한 국방력 강화에도 큰 도움을 받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