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체감경기 '싸늘'…4분기 연속 기준치 밑돌아

입력 2025-07-02 17:10:28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84… 전 분기보다 8포인트 하락
대내외 최대 위협은 '내수 부진'과 '원자재가 상승'
수출·투자는 '선방'… "활력 북돋울 인센티브 지원해야"

경북 구미상공회의소 전경.
경북 구미상공회의소 전경.

구미지역 제조업체들의 체감 경기가 4분기 연속 기준치를 밑돌며 좀처럼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중동 정세 불안과 내수 침체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경영 부담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3일까지 지역 내 제조업체 105곳을 대상으로 '2025년 3분기 기업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4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92)보다 8포인트 떨어진 수치로 4분기 연속 기준점인 100을 넘지 못했다. 4BSI가 100 미만이면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응답 기업 105곳 중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본 기업은 38곳이었고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21곳에 그쳤다. 46개 기업은 전 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89)와 기계·금속(87)이 비교적 선전했으나 섬유·화학은 67에 그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88)이 대기업(72)보다 경기를 더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매출액(91), 영업이익(81), 설비투자(87), 자금사정(76) 등 세부 항목도 모두 기준치를 밑돌아 전반적인 어려움이 예상된다.

전국 BSI는 81로 구미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영남권은 전반적으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경북(69)과 대구(64)는 구미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부산(81) 울산(75) 경남(79)도 부진했다. 이는 철강·섬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업황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상반기 실적을 보면 기업 절반 이상(51.4%)이 연초에 세운 매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투자 실적은 64.8%가 목표 수준을 달성하거나 넘어설 것으로 예상해 위축된 경기 상황 속에서도 미래를 위한 투자는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경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 '내수 수요 부진(53.3%)'과 '원자재가 상승(33.3%)'을 각각 꼽았다.

심규정 구미상의 경제조사팀장은 "지역 기업들의 경영 부담이 지속되고 있지만 다행히 올해 5월까지 구미 수출 실적은 7.9% 늘어나 선방하고 있다"며 "기업 활력을 북돋울 수 있도록 자금·수출·투자 인센티브 지원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