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1호 당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 여부가 다시 변수로 떠올랐다. 결국 김문수 대선 후보의 의중이 중요하지만, 강경 '반탄파'였던 김 후보가 절연을 선언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당내에선 윤 전 대통령 스스로 용단을 내려야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란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16일 KBS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탄핵의 강을 넘기 위해서 대통령과 관련된 문제는 이미 답이 나와 있다고 생각이 든다며"며 "저희 정당은 헌법 정신을 존중하는 정당이고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해서 주말까지 조속히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대통령께 정중하게 탈당을 권고드리겠다"며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를 전면에 꺼내들었다.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 이정현 전 의원도 "윤 전 대통령에게 자진탈당을 권고하고 계엄에 대해 책임표명과 대국민 사과를 제안한다"고 촉구했다.
경선 과정부터 논란이 된 윤 전 대통령과의 정치적 결별 여부가 다시 불거지는 양상이지만, 해법이 간단치는 않다.
김 후보는 탄핵 국면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며 강성 보수층에 호소한 탓에 딜레마에 놓였다.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후계자' 이미지가 강한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에 탈당을 요구할 경우 강성 보수층의 민심 이반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윤 전 대통령을 안고 가는 것 또한 부담이다. 김 후보의 지지율이 30%대 초반의 박스권에 갇히면서 중도층 포섭 등 외연 확장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과 관련해 "본인이 판단하고 결정할 문제"라며 "대통령 후보가 '탈당하라, 탈당하지 말라' 이야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당내에선 찬탄-반탄 구도로 입장이 분열되는 모양새다. 경선 과정에서부터 탄핵에 찬성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첫 TV토론이 예정된 오는 18일 이전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의 절연하라"고 촉구했다. 한 전 대표는 "이미 지난 12월말 당 차원의 계엄에 대한 사과는 있었으니 지금은 계엄으로 인한 탄핵 반대에 대한 당의 입장 선회가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친윤계 윤상현 의원은 "공개적인 탈당 논의를 멈추라"며 윤 전 대통령을 두둔했다. 윤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은 김 후보 승리에 가장 도움되는 방향으로 뭐든지 하겠다는 생각으로, 거취도 시기와 방법을 따져 당과 긴밀히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탄핵에 반대한 의원들 중에서 일부는 '자진 탈당'이라는 결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지금 조기 대선을 가지고 온 가장 큰 원인이 비상계엄"이라며"그걸 만든 사람이 윤 전 대통령이니 결자해지의 입장에서 당신께서 당을 가볍게 놔줘야 되지 않나라고 생각한다. 강제로 출당을 결정하기보다 정무적인 판단으로 탈당을 결정해준다면 우리가 지키고자 했던 법치주의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했다.
또 다른 국민의힘 의원은 "대통령이 스스로 탈당을 하시는 게 당이 대선 승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후보에게 부담을 줘서는 안 된다"라며 "희생적인 결단을 내려주면 당에도 도움이 되고 대통령한테도 도움이 되며 대통령 선거 승리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당선 뒤 유죄면 직무정지? 헌법학자 10인 대답은
TK지지율 김문수 53.1% 이재명 30.9% 이준석 7.0%
홍준표 "30년 전 노무현 따라 꼬마 민주당 갔다면"…작심 토로
김문수 "尹계엄권 발동 부적절…진심으로 사과"
"이준석 싫어요" 67%…비호감 대선후보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