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3인방 10대 공약…기후위기 적극 대응
이재명,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4대강 재자연화"
김문수, "환경부→기후환경부…원전 비중 확대"
이준석, 기후 및 에너지 분야 10대 공약에 없어
전세계적인 '탄소 제로' 움직임,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 등으로 기후위기 대응 정책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후보별 주요 공약으로 거론되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강조하는 측과 원자력발전에 힘을 싣는 쪽 등으로 갈려 후보별 기후대응 공약에선 온도차도 감지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0대 공약 중 10번째 공약으로 "미래세대를 위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선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에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을 폐쇄하는 것은 물론 햇빛·바람 연금 확대, 농가태양광 설치로 주민소득 증대 등을 실천 과제로 제시했다.
전국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 등 전력을 '에너지고속도로'를 구축해 공급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2030년까지 서해안, 2040년까지 한반도 전역에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하겠다는 시한도 제시했다.
분산형 재생에너지 발전원을 효율적으로 연결·운영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하겠다는 정책도 공약했다. 영농형 태양광을 적극 보급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 등 수송 부문 '탈탄소' 가속화에도 힘을 쏟을 방침이다.
이재명 후보는 문재인 정부가 역점 추진했던 '4대강 재자연화'도 공약에 포함했으며 산불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생물 다양성을 존중하는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기존의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개편해 기후재난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구상을 앞세우고 있다. 이를 통해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와 기후재난 관련 기능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후변화 적응형 인프라 구축·도시계획 정책 강화 ▷기후재난 예측·조기경보 시스템 고도화 등도 추진한다.
김 후보는 재생에너지에 방점을 둔 이재명 후보와 달리 원자력발전 비중 확대에 공을 들일 복안이다.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인 대형 원전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한국형 소형원전(SMR) 상용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활용 제고를 위해 "에너지 고속도로·국도·지방도를 정교하게 연결하겠다"는 구상도 그리고 있다.
김 후보는 이러한 에너지 정책을 인공지능(AI) 산업 필수 인프라의 안정적 전력 공급 방안의 하나로 꼽고 있는 게 특징이다. 기후위기 대응 공약 역시 '탈탄소'보다 기후재난 대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경우 10대 공약에 기후위기 대응 관련 정책을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문수 "가짜진보 확 찢어버리고 싶다"…이재명 '형수 논란' 겨냥?
'홍준표 책사' 이병태, 이재명 돕는다…"김문수는 반지성 지도자"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대선 이후로 기일 연기…추후 지정
이재명, 구미서 "박정희, 산업화 공도 있다…진영·이념 뭐가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