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월 활동 반경 5배 이상 확대…국립공원공단 "법정 탐방로만 이용을"
종·호루라기 지참 권고…가을철엔 공존 캠페인도 전개
최근 10년간 곰 목격 사례 10건…"자극 피하고 조용히 이동을"
지리산을 찾는 탐방객들은 이달 말부터 조심해야 한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반달가슴곰이 짝짓기 시기를 맞아 본격 활동에 들어가서다.
국립공원공단은 13일 "반달가슴곰의 활동 반경이 커지는 5~7월은 지리산국립공원을 찾는 이들의 주의가 특히 필요한 시기"라며 "법정 탐방로를 이용하고, 2인 이상 동행하며, 종이나 호루라기 같은 소리나는 물품을 지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공단에 따르면 반달가슴곰은 겨울잠에서 깨어난 후 이달 말부터 7월 사이 왕성한 활동을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공단이 반달가슴곰의 계절별 평균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봄철(3~5월) 대비 여름철(6~8월)의 활동 반경은 약 5.3배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단도 최근 지리산국립공원 내 샛길 입구 등 600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를 알리는 홍보 깃발과 무인안내기를 설치했다. 가을 탐방 성수기(9~11월)에는 탐방로 입구에서 공존 캠페인을 통해 종과 호루라기를 배포할 계획이다.
하반기부터는 지리산과 덕유산 국립공원 내 10개 탐방안내소 및 대피소에서 소리나는 물품을 판매하고, 지리산 종주능선 10곳에 고정식 종도 시범 설치할 예정이다.
공단은 "반달가슴곰은 사람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해 지난 10년간 탐방로에서 목격된 사례는 총 10건에 불과하다"며 "같은 기간 지리산국립공원 탐방객 수가 3천207만명에 달한 점을 고려하면 목격 확률은 약 320만 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반달가슴곰과 마주치게 될 경우 등을 보이거나 시선을 피하지 말고 조용히 뒷걸음질해 자리를 벗어나야 한다. 음식 제공, 촬영 목적 접근 등 자극적인 행위는 피해야 한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지리산 일대는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며 "탐방객과 지역 주민 모두가 공존 수칙을 지켜 반달가슴곰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국립공원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