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월 활동 반경 5배 이상 확대…국립공원공단 "법정 탐방로만 이용을"
종·호루라기 지참 권고…가을철엔 공존 캠페인도 전개
최근 10년간 곰 목격 사례 10건…"자극 피하고 조용히 이동을"
지리산을 찾는 탐방객들은 이달 말부터 조심해야 한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반달가슴곰이 짝짓기 시기를 맞아 본격 활동에 들어가서다.
국립공원공단은 13일 "반달가슴곰의 활동 반경이 커지는 5~7월은 지리산국립공원을 찾는 이들의 주의가 특히 필요한 시기"라며 "법정 탐방로를 이용하고, 2인 이상 동행하며, 종이나 호루라기 같은 소리나는 물품을 지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공단에 따르면 반달가슴곰은 겨울잠에서 깨어난 후 이달 말부터 7월 사이 왕성한 활동을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공단이 반달가슴곰의 계절별 평균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봄철(3~5월) 대비 여름철(6~8월)의 활동 반경은 약 5.3배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단도 최근 지리산국립공원 내 샛길 입구 등 600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를 알리는 홍보 깃발과 무인안내기를 설치했다. 가을 탐방 성수기(9~11월)에는 탐방로 입구에서 공존 캠페인을 통해 종과 호루라기를 배포할 계획이다.
하반기부터는 지리산과 덕유산 국립공원 내 10개 탐방안내소 및 대피소에서 소리나는 물품을 판매하고, 지리산 종주능선 10곳에 고정식 종도 시범 설치할 예정이다.
공단은 "반달가슴곰은 사람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해 지난 10년간 탐방로에서 목격된 사례는 총 10건에 불과하다"며 "같은 기간 지리산국립공원 탐방객 수가 3천207만명에 달한 점을 고려하면 목격 확률은 약 320만 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반달가슴곰과 마주치게 될 경우 등을 보이거나 시선을 피하지 말고 조용히 뒷걸음질해 자리를 벗어나야 한다. 음식 제공, 촬영 목적 접근 등 자극적인 행위는 피해야 한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지리산 일대는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며 "탐방객과 지역 주민 모두가 공존 수칙을 지켜 반달가슴곰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국립공원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문수 "가짜진보 확 찢어버리고 싶다"…이재명 '형수 논란' 겨냥?
'홍준표 책사' 이병태, 이재명 돕는다…"김문수는 반지성 지도자"
홍준표 지지자 모임 '홍사모', 이재명 지지 선언
이재명, 구미서 "박정희, 산업화 공도 있다…진영·이념 뭐가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