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세계 최하위권 성장 성적표…소비·건설 등 취약한 내수 영향
"추가 추경 등 없다면 올해 연 1%도 어려워"
한국의 1분기 성장률이 주요 19개국 중 꼴찌로 나타났다. 민간 소비와 건설 등 한국 내수의 구조적 취약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된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 분기 대비)은 -0.246%로, 지금까지 1분기 성장률을 발표한 19개 나라 가운데 가장 낮았다.
19개국 중 18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이고, 비(非)OECD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중국이 포함됐다.
1분기 성장률 1위는 아일랜드(3.219%)였고, 중국(1.2%)·인도네시아(1.124%)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GDP)가 비슷한 스페인도 0.568%의 성장률로 4위에 올랐다.
경제 규모가 한국보다 큰 캐나다 (0.4%), 이탈리아(0.26%), 독일(0.211%), 프랑스(0.127%) 모두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세계 1위 경제 대국이자 자국 관세 정책 혼란에 가장 직접적 타격을 입은 미국도 역성장을 했지만 -0.068%였다.
주요국 가운데 일본과 영국이 아직 공식 1분기 성장률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이들의 성적도 우리나라보다 나쁠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한국의 세계 하위권 성장 성적표는 1년째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만 해도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1.3%로 주요 37개국(콜롬비아·리투아니아 제외 36개 OECD 회원국+중국) 가운데 중국(1.5%)에 이어 6위 수준이었다.
하지만 곧바로 2분기(-0.228%) 뒷걸음치면서 32위로 추락했고, 3분기(0.1%)에도 뚜렷한 반등에 실패하면서 26위에 그쳤다.
소비·건설투자 등이 살아나지 못하는 상태에서 12월 계엄과 탄핵 정국까지 이어지자 내수는 더 위축됐고, 결국 작년 4분기(0.066%·29위) 역시 0%대 성장률과 함께 29위로 더 주저앉았다.
한은 조사 대상인 37개 국가의 성장률이 아직 모두 공개되지 않았지만, 올해 1분기 성장률도 최하위권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한국 경제의 침체 원인으로는 '약한 내수'가 거론된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반도체 하락 사이클이나 미국 관세정책 등 수출 불안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현재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소비와 건설 등 내수가 너무 부진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많은 가계부채와 높은 절대 물가 수준 등에 위축된 소비가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면서 1분기 민간소비가 또 0.1% 뒷걸음쳤다"며 "건설도 전반적 부동산 경기 하강과 고금리 등에 2023년 이후 계속 나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본격적으로 하반기 미국 관세정책의 충격이 시작되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이 1%를 넘기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국내외 기관들의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카드는 추가경정예산 등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이다.
한은에 따르면 12조원 규모 추경이 집행되면 올해 성장률이 0.1%포인트(p) 정도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여·야가 합의한 추경 규모 13조8천억원이 1조8천억원 정도 더 많지만, 성장률 제고 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문수 "가짜진보 확 찢어버리고 싶다"…이재명 '형수 논란' 겨냥?
'홍준표 책사' 이병태, 이재명 돕는다…"김문수는 반지성 지도자"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대선 이후로 기일 연기…추후 지정
이재명, 구미서 "박정희, 산업화 공도 있다…진영·이념 뭐가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