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인구 줄고 외국인 늘어···지방소멸 대응 '외국인 유치'가 해법?

입력 2025-05-08 17:07:01

1년 새 도내 내국인 2만3천여 명 감소, 외국인 1만 명 가까이 증가
생산가능인구 높은 외국인, 지방소멸 극복의 핵심 키로 부상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의 내국인 인구수가 최근 1년 동안 2만여명이나 줄었지만 외국인이 1만여명 증가해 인구 감소폭을 크게 줄였다. 지역 소멸 위기감이 증폭되는 동시에 포용적 외국인 정책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경상북도가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올해 1분기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도내 총인구는 260만933명으로 지난해 1분기 대비 1만4천281명이 감소했다. 내국인은 2만3천787명이 줄었고, 외국인은 9천506명이 늘었다.

도내 거주 외국인은 지난해 상반기 처음으로 7만명을 선을 넘어선 이후 분기별로 3천명 안팎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내 전체 인구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7만7천760명) 수준에 달한다.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경산(1만9천368명), 경주(1만3천260명), 포항(7천848명) 등 순이다. 전체 인구 중 외국인 비율이 높은 시·군은 고령(7.3%), 경산(6.8%), 성주(5.4%) 등이다.

국적별로는 베트남 출신 외국인 비중이 30.4%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10.5%), 인도네시아(7.8%) 등 순이다.

2022년 이후 3년 간 도내 내국인은 5만7천여명이 감소했으나 외국인은 2만여명이 늘어 인구 감소폭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했다. 또 도내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생산가능연령(만15~65세)은 95%로 내국인(63.9%)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내국인 중 고령 인구는 26.4%로 구미를 제외한 21개 시·군이 고령화율이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미는 고령사회(고령화율 14~20%)로 분류됐다.

도는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외국인 우수 인재 유치 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에는 E-7(특정 활동) 체류자격을 대상으로 2년 간 25개 직종에 350명의 우수 외국인 인재를 유치하는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전 정부에서 추진한 이민청 설립·유치에도 적극적이다. 도내 시·군 중 김천·안동 등이 이민청 유치를 위한 타당성 연구조사 용역에 나섰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정부조직법 개정 등이 이뤄지면 유치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 유치는 지방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면서 "증가하는 외국인 인구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시범사업으로 시행 중인 외국인 광역비자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