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4월 인구, 역대 최대 증가치 보여"

입력 2025-05-07 14:07:56 수정 2025-05-07 21:48:18

한달 새 1천80명 증가, 지역대학생 학업장려금 정책 효과 뚜렷
지난달 안동시 순 전입인구 1천660명, 3개대 소재지 크게 증가
일부 산불 피해 긴급생활지원금 노린 꼼수 전입 논란 주장 불식

안동시가 다양한 인구증가 시책을 펴 4월말 기준으로 1천여명이 넘는 인구 증가를 나타냈다. 역대 최대치다. 안동시 제공
안동시가 다양한 인구증가 시책을 펴 4월말 기준으로 1천여명이 넘는 인구 증가를 나타냈다. 역대 최대치다. 안동시 제공

지난달 안동시 인구 증가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안동시가 인구증가 시책으로 지난해부터 추진하는 '지역대학생 학업장려금'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안동지역 3개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인구 증가세가 눈에 띄게 늘어나면서 대학생 청년인구 유입이 안동시 인구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를 기준으로 4월말 안동시 인구는 15만3천973명으로 전월대비 1천80명이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월간 최대 516명 증가 기록을 넘어선 수치다.

4월 안동시로 전입된 인구는 모두 1천66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지역대학생 학업장려금 정책효과로 판단할 수 있는 전입은 모두 800여명이 넘는 것으로 보인다.

국립경국대학교가 소재한 용상동 인구가 649명이 증가했고, 안동과학대학교가 위치한 서후면이 116명, 가톨릭상지대학교가 자리한 중구동도 72명이 늘어난 것.

실제 지난해 지역대학생 학업장려금 신청이 마무린 된 5월에도 1천247명이 전입했으며,국립경국대(당시 안동대)가 소재한 용상동이 427명, 가톨릭상지대 소재 중구동이 66명, 안동과학대 소재 서후면이 58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었다.

안동시는 '지역대학생 한업장려금' 시책과 함께 올해도 안동주소갖기 캠페인, 인구감소 대응과 출산 친화적 환경 조성, 청년 지원 및 주거 안정을 위한 저출산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지역에서 낳아 지역에서 기른다'는 이념으로 결혼·출산·보육까지 연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청년들이 출산 친화적인 환경에서 가정을 이루고 정착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출산과 보육을 위한 원스톱 지원을 위해 '은하수랜드 &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산후조리, 신생아 돌봄, 안전한 놀이공간 제공 등을 통해 출산 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청년들이 살기 좋은 도시 조성을 위해 다양한 청년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5년차를 맞은 안동형일자리사업은 질적 성장을 통해 한 단계 도약한다. 지역기업과 구직자 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지역기업 인턴십 사업과 (예비)창업자 지원사업을 확대한다.

이같은 안동시의 인구증가 시책 결과 지난해 안동시 인구가 9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도청 신도시 조성 이후 계속되던 인구 감소세가 9년만에 멈추고, 224명의 순 증가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안동시 민선8기 대표 공약사업인 '안동지역대학생 학업장려금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소대 3개 대학 5천여명의 학생들에게 학업장려금이 지원됐으며, 이들 중 안동시로 주소를 이전한 대학생이 2천699명에 이르면서 인구 증가에 한 몫 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2025년에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출산부터 취업, 안정된 주거 여건까지 모두 아우르는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며 "청년인구 유입 효과를 통해 생활지원금을 노린 반짝 인구증가 효과라는 일부의 논란을 불식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안동시가 다양한 인구증가 시책을 펴 4월말 기준으로 1천여명이 넘는 인구 증가를 나타냈다. 역대 최대치다. 안동시 제공
안동시가 다양한 인구증가 시책을 펴 4월말 기준으로 1천여명이 넘는 인구 증가를 나타냈다. 역대 최대치다. 안동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