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카드 사용액이 전년 동기보다 3.3% 증가해 300조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여신금융협회가 3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카드승인실적 분석'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카드 총 승인금액은 300조6천억원으로 승인건수는 68억5천만건으로 각각 지난해 보다 3.3%, 1.2% 늘었다. 증가폭은 최근 1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경기 위축에 따른 소비심리 약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카드 종류별로 보면 신용카드 승인금액은 236조4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고, 체크카드는 61조2천억원으로 1.3% 늘었다. 승인건수는 각각 41억9천만건과 25억5천만건으로 집계됐다.
카드 사용 증가세는 법인카드가 주도했다. 법인카드 승인금액은 53조2천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8.8% 증가한 반면, 개인카드는 247조5천억원으로 2.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승인건수 기준으로는 법인카드가 2.2% 감소한 반면, 개인카드는 1.5% 증가했다.
여신금융협회는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 증가와 세무일정 등의 영향으로 법인카드 지출이 늘었다"며 "세금 및 공과금 납부 확대, 각종 비용 지출 증가가 승인금액 상승의 배경이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의 작년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전년보다 83.6% 늘어난 180조5천억원에 달했다.
카드 사용 업종별 흐름을 보면 소비 밀접 분야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교육서비스업(4.6%)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5.5%)은 증가세를 보였고,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도 3.6% 늘었다. 반면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골프장 이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4.6% 줄었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 역시 0.8% 감소했다. 항공여객 및 여행 관련 지출이 줄면서 운수업도 3.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유통 업종에서는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판매액이 소폭 증가했지만, 온라인 중심의 e쿠폰 서비스 사용액은 티몬 사태 여파 등으로 42.6% 급감했다. 반면 음식 서비스 분야는 온라인 배달 거래 증가에 힘입어 14.5% 증가하며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
평균 승인금액은 전체 카드 기준 4만3873원으로, 전년보다 2.1% 늘었다. 법인카드 평균 승인금액은 14만3257원으로 11.3% 급증했고, 개인카드는 3만8208원으로 0.8% 상승했다.
소비심리는 지난해 1분기 평균 101.4에서 올해 1월 91.2까지 하락한 뒤, 3월에도 93.4에 그치는 등 여전히 위축된 상황이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1분기 평균 2.1%로, 개인카드 승인금액 증가율(2.2%)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항공과 영화 등 여가 분야의 지출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항공여객 수는 소폭 늘었으나 국내선 이용은 13.7% 줄었고, 영화관 관객 수는 32.6% 감소했다. 골프장 이용도 24.9% 줄며 관련 업종 실적 부진에 영향을 줬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