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고구마 모짜렐라 버거 출시 1달 만에 240만개 판매
이마트는 영덕군과 협업 '피코크 영덕 붉은대게' 6종 출시
지자체 "농산물 판로 확대, 지역 인지도 제고 효과" 평가
익산 고구마, 영덕 대게를 비롯한 지역 특산물이 식품시장을 사로잡았다. 이른바 '로코노미(Loconomy)' 열풍이다. 로코노미는 지역을 뜻하는 로컬(local)과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미(economy)의 합성어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에 대한 소비활동을 말한다. 우리 농수산물로 만든 먹거리가 식품업계 '대세'로 떠오르면서 지역경제에 활력이 돋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 특산물 활용 상품 출시 '러시'
최근 로코노미 사례 중 주목할 만한 건 한국맥도날드의 '익산 고구마 모차렐라 버거·머핀'이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한국맥도날드와 익산시가 협업한 익산 고구마 모차렐라 버거·머핀은 출시 1달 만에 판매량 240만개를 기록했다. 맥도날드는 지난달 10일부터 1달간 전국 400여개 매장에서 익산에서 수확한 고구마로 만든 버거·머핀을 판매했다.
이는 맥도날드가 진행하는 '한국의 맛' 캠페인의 다섯 번째 메뉴다. 맥도날드는 지난 2021년부터 창녕 마늘, 보성 녹차, 진도 대파, 진주 고추 등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한 햄버거 메뉴를 출시해 왔다. 지난 11일부터는 '창녕 갈릭 비프·치킨 버거' 2종을 재출시해 판매 중이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지난 2022년부터 동반성장위원회,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과 함께 '상생 음료'를 선보이고 있다. 그동안 문경 오미자와 제주 한라봉을 활용한 '한라문경 스위티'와 '옥천 단호박 라테' '해남 찐고구마 라테' 등을 출시했다. 이는 스타벅스가 음료를 개발한 뒤 소규모 카페에 레시피와 재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다. 우리 농산물을 음료 개발에 반영해 지역 농가와 상생하는 동시에 카페업체 간 상생을 도모한다는 취지다.
로코노미 바람은 유통가에서도 거세다. 이마트는 지난 4월 로코노미 기획 상품으로 영덕군과 협업한 '피코크 영덕 붉은대게' 간편식 및 가공식품 6종을 내놨다. ▷피코크 영덕 쫀득게살전 ▷피코크 게살 코코넛크림커리 ▷피코크 붉은대게칩 ▷피코크 게딱지맛 볶음밥 ▷피코크 바삭촉촉 게살크림 크로켓 ▷피코크 게살수프다.
특히 붉은대게칩은 출시 이후 한 달간 3만개, 게딱지맛 볶음밥은 3주 동안 2천100개가 팔렸다는 게 이마트 설명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역과 협업을 통해 개발한 식품은 상품성이 높고 고객 반응도 좋다"며 "영덕 붉은대게를 활용한 다른 상품을 준비하는 한편 협업을 위한 여러 지역 특산물을 꾸준히 발굴할 예정"이라고 했다.

◆지역 인지도 높이고 농가 판로 확대
맥도날드 고구마 모차렐라 버거·머핀 출시에 협력한 익산시는 최근 보도자료에서 "지역 농산물과 세계적 외식기업의 만남이 만들어낸 모범적 협력 사례"라며 농산물 판로 확대와 지역 인지도 제고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익산 고구마 200톤(t)이 투입된 데다 고향사랑기부자에 대한 햄버거 쿠폰 증정 행사로 기부금 약 2억원을 모으는 등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는 게 익산시 설명이다.
한국맥도날드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한국의 맛 프로젝트를 통해 창출된 사회·경제적 가치가 약 617억원으로 조사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역 특산물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농가 소득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 조사에서 각 지역은 ▷창녕 443억원 ▷진도 91억7천만원 ▷진주 63억8천만원 ▷보성 17억1천만원 상당 효과를 본 것으로 나왔다.
이처럼 로코노미가 호응을 얻는 배경에는 개인의 신념에 따라 상품과 서비스를 선택하는 '가치소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5월 발간한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보고서에서 가치소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 특색과 고유성이 반영된 제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식품업계, 유통업계, 지방자치단체까지 로코노미를 활용한 각종 상품과 행사로 긍정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면서 "지역 상생, 환경 보호 등 공익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의 증가와 '미닝 아웃'(정치적·사회적 신념을 소비 행위를 통해 표현하는 것) 트렌드가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불러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