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제주 한림에 장주기 대용량 ESS 구축…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기대

입력 2025-04-24 09:15:55

착공식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는 모습 (사진= LS일렉트릭 제공)
착공식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는 모습 (사진= LS일렉트릭 제공)

전력 계통 불안정 문제 해결을 위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이 제주도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LS일렉트릭은 제주시 한림읍에서 10메가와트(㎿)급 전력변환장치(PCS)와 40메가와트시(㎿h)급 배터리를 갖춘 장주기 ESS 설치 사업의 착공식을 지난 23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착공식에는 사업지 인근 지역 주민과 함께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이지스자산운용, 건화, 에스피브이, 에코그리드솔루션 등 사업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사업은 오는 11월 준공과 상업 운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한림읍에 설치되는 ESS는 장주기 설계로 4시간 이상 전력 저장 및 방전이 가능해, 과잉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필요 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문제를 완화하고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로, 낮 시간 등 수요가 낮은 시간대에 전력 과잉 생산이 자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출력 제어 조치가 반복돼 에너지 활용에 제약이 컸다. 이번 장주기 ESS 구축은 이러한 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023년 11월 이지스자산운용, 건화, 에스피브이 등과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제주 1차 장주기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구축사업'의 한림읍 지역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에서 LS일렉트릭은 설계, 자재 조달, 시공(EPC)은 물론 향후 15년간의 유지관리 및 운영(O&M)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은 국내를 비롯해 일본, 영국 등 해외에서도 스마트에너지 분야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이번 사업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ESS는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방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수급 불균형 문제 해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장주기 ESS는 4시간 이상 저장이 가능해, 단주기 ESS보다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안정화에 더 적합하다. 단주기 ESS는 주로 전력의 주파수 조절 용도로 활용된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국내 ESS 시장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는 장주기 ESS 구축이 필수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제주도 역시 이런 배경 아래 대규모 ESS 인프라 확보를 추진 중이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한림읍 ESS 구축 사업은 제주 지역의 전력 수급 불균형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첫 대규모 시도"라며 "스마트에너지 사업 영역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운영과 함께 향후 국내외 ESS 시장 확대에도 대응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