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운반·점검 로봇 정보 활용, 방제·수확 등 농작업 의사결정
농업 로봇 산업표준 제정…'농업 로봇 대량생산' 기반 조성
농업 현장에 보급되는 농업 로봇의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방제와 수확 등 농업인의 의사결정을 돕는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농업 로봇 산업표준 개발을 확대하는 등 농업 로봇 보급 기반을 다지기에 나섰다.
23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농과원)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브리핑을 열고 '통합 관리 프로그램'으로 기존에 개발한 방제와 운반, 점검(모니터링) 로봇의 작업 정보를 농업인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통합 관리 프로그램은 크게 ▷로봇 관리 ▷작물 관리 ▷디지털 영농 관리 등 기능을 갖췄다. 프로그램을 통해 로봇의 위치나 작업 속도, 이동 거리 등 운영 통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작업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모니터링 로봇을 통해 영상 정보로 수확할 수 있는 열매 수량·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각 열매의 익은 정도와 온실 환경 데이터를 분석해 수확 가능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로봇이 보낸 작업 상황과 작물 상태 정보를 종합하면, 농업인은 방제 횟수나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농과원 측은 "(3종 로봇에) 기술을 적용한 결과, 로봇 작업 지시부터 작업 여부 확인까지 전 과정을 완전 무인화했다"며 "인력을 활용할 때보다 작업 시간은 40% 단축하고, 방제 효과도 15%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토마토 재배 농가 3곳에서 농업 로봇 작업을 적용한 결과, 0.5ha(헥타르) 기준 연간 인건비는 방제 1천200만원, 운반 800만원, 모니터링 900만원 등이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농과원은 현재 정부 예산 보조를 받아 지난해 운반 로봇을 농가 10곳에 보급한 데 이어, 올해 운반 로봇 14대와 방제 로봇 10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농업용 로봇 용어와 분류, 구조와 안전 사항 등 2건의 표준을 제정한 데 이어 올해는 추가로 3건의 표준을 제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농과원 관계자는 "농업 로봇 산업표준 제정으로, 민간 로봇 기업이 농업 현장에 보급할 수 있는 농업 로봇의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승돈 농과원장은 "농업·농촌에 농업 로봇이 빠르게 보급될 수 있도록, 농업 로봇의 통합 관리·보급·산업표준기술 제정 등 3박자에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