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대구 도심융합특구' 10년 계획 수립…'판교형 테크노밸리' 모델 육성

입력 2025-04-22 10:36:57

지난해 지정된 전국 5개 특구 대상으로 10년 단위 종합계획 수립
대구에서는 2035년까지 산격동 일대에 조성

2025년 3월 23일 칠성동, 침산동, 도청 터(시청 별관) 일대 모습. 지난해 11월 도청 터, 경북대, 삼성창조캠퍼스가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돼 신 성장 거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김태형 기자 thk@imaeil.com
2025년 3월 23일 칠성동, 침산동, 도청 터(시청 별관) 일대 모습. 지난해 11월 도청 터, 경북대, 삼성창조캠퍼스가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돼 신 성장 거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김태형 기자 thk@imaeil.com

정부가 대구 북구 경북도청 후적지(지금의 대구시 산격청사) 일대 등 전국 5개 광역시에 지정된 '도심융합특구'를 산업·주거·문화가 집약된 성장 거점인 '판교형 테크노밸리'로 육성하기 위한 10년 단위 발전 전략 마련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세종 국토연구원에서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용역' 착수 보고회를 열었다. 용역 기간은 내년 9월까지다. 최종 보고서에는 2023년 국회를 통과한 '도심융합특구 조성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한 기본 목표, 중장기 발전 전략 등이 담길 예정이다.

또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정한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한 범부처 지원방안, 선도기업 유치전략, 산업 네트워크 연결 방안 등이 담긴다. 세제 감면과 주거지원 등 기업·종사자 지원 방안도 구체화한다. 정부 재정 지원의 필요성과 세부 기준, 정부·자치단체·민간 등 거버넌스 체계 정립 등도 종합발전계획에 포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실시계획 수립기준을 마련하고, 각종 영향평가와 심의 간소화 같은 제도 개선 사항도 발굴하기로 했다.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산업·주거·문화가 복합된 공간을 조성하고, 각 부처의 기업 지원 사업을 집중시켜 기업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꾀하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도심융합특구 내에서는 용적률, 높이 등 도시·건축 규제를 완화해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한다. 특구 내 기업이 밀집한 지역은 기회발전특구로 중복 지정 세제 지원을 강화한다.

7일 국토교통부는
7일 국토교통부는 "대구 북구 경북도청 후적지(지금의 대구시 산격청사) 일대를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하고 도심융합특구기본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대구 도심융합특구 조감도. 2024.11.7. 국토부 제공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대구를 비롯해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도심에 도심융합특구를 최초 지정하고 기본계획을 승인했다. 이어 올해 2월에는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교육부, 국토부,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7개 부처와 지방 성장거점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대구 도심융합특구는 사업비 7천872억원(추정) 투입해 경북도청 후적지, 경북대학교, 삼성창조캠퍼스에 이르는 98만㎡를 2035년까지 신산업혁신거점, 인재육성거점, 창업허브거점으로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도심항공교통(UAM), 첨단로봇, 지능형 반도체 등 핵심 산업의 인재육성, 창업, 기업육성 체계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국토부도 "대구 도심융합특구는 경북대 캠퍼스 혁신파크와 삼성창조캠퍼스 연계 활용이 가능해 성장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오페라하우스 등 기존 주거, 문화, 교육시설 활용 등 정주 여건도 우수하다"면서 "심지어 KTX 역사와 가깝고 도시철도 4호선 건립 등 도심 교통망 지속 확충에 따른 장점마저 갖췄다"고 평가했다.

김지연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연말 수립을 목표로 추진 중인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향후 10년간의 중장기 발전 전략을 제시할 것"이라며 "앞으로 이 공간이 경쟁력 있는 지방시대를 열기 위한 성장거점이 될 수 있게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

7일 국토교통부는
7일 국토교통부는 "대구 북구 경북도청 후적지(지금의 대구시 산격청사) 일대를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하고 도심융합특구기본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대구 도심융합특구 위치도. 2024.11.7. 국토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