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유예 시한 코앞인데, 외교 채널 '삐걱'…대미 통상 전략 비상

입력 2025-07-14 17:11:53 수정 2025-07-14 19:34:32

트럼프 "실제로 부과" 연일 압박…한미 정상회담·투트랙 협상 무산
김종인 특사 여권 안팎 잡음…최악 상황 대비 '플랜B' 고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미 통상협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미 통상협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 시한인 8월 1일이 다가오면서 한국 정부의 대미 통상 전략에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가 없으면 관세는 현실"이라며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한국 측의 핵심 외교 채널은 삐걱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충분히 좋은 합의를 얻지 못하면 관세를 실제로 부과할 것"이라며 "이는 협상용 카드가 아니다"고 말했다. 실제로 트럼프는 EU에 30%, 일본과 멕시코에 각각 30%, 캐나다에 35%, 브라질에는 최대 50%에 이르는 관세 부과 방안을 경고해 놓은 상태다.

그간 한국과 미국은 이른바 '줄라이 패키지'(7월 중 포괄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기술 협의를 이어왔지만 대선 등과 맞물리면서 사실상 실패했다. 이재명 정부는 관세와 안보를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해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했지만 이마저도 무산됐다. 이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앞세워 각각 안보와 통상 현안을 논의하는 '투트랙 협상'에 나섰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특히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미국 특사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청와대와 외교부 등 복수 라인 간의 이견으로 잡음이 여권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여 본부장은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미국이 제시한 협상 시한이 20일도 채 남지 않았다"며 "이제는 선택과 결단의 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간이 부족하다고 해서 실리를 포기하진 않겠다"면서도 "최상의 시나리오와 함께 최악의 상황도 모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질적인 협상 채널이 작동 불능 상태지만 8월 1일 관세 시한을 앞둔 새로운 '플랜B' 가동이 절실하다는 판단이 나온다. 권오영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장은 "철강과 자동차 수출 등 국내 주요 산업 곳곳에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다"며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가 버티기 위해서는 관세 협상을 미뤄선 안 된다. 모든 채널을 동원해 대미 협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