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채 매입' 관세 협상 테이블 오르나…'미·일 조기합의'에 기대감도

입력 2025-04-17 17:17:08 수정 2025-04-17 21:12:03

내주 한미 협상, 트럼프식 압박 가능성 대책 시급
韓, 보유량 전체 0.4% 불과…무역적자 갈음할 카드로 거론
'원화 강세 유도' 요구 가능성…美日 조기 합의 앞둬 기대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만난 사진을 올린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만난 사진을 올린 뒤 "무역 관련 일본 대표단을 방금 만나 큰 영광이었다"고 밝혔다. 트루스소셜 캡처
최상목 경제부총리(왼쪽)와 미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왼쪽)와 미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다음주 미국과 관세 협상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16일(현지시간) 미국과 일본이 첫 관세 협상에서 조기 합의를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관심이 쏠린다. 미·일 간 첫 관세 협의는 한·미 관세 협상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평가받으면서 장밋빛 기대감도 나온다. 미국은 한국을 상대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은 미국채 보유량을 문제 삼으며 협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다음주 미국에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만나 통상 현안 회의를 진행한다.

앞서 베센트 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다음주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에서 주목할 점은 미국의 요구 조건이다. 우선 현재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은 '미국채 매입'이다. 현재 한국의 미국채 보유량은 전체 규모의 0.4%에 불과한 1천250억달러다. 국가별 미국채 보유량 규모를 보면 1위 일본이 1조1천억달러, 2위 중국은 7천600억달러로 한국과 격차가 상당하다.

한화투자증권 김수연 연구원은 "우선 협상 대상국에 이름을 올린 국가들은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국가다.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여주거나 무역적자를 갈음할 만한 카드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미국에 사줄 수 있는 건 무역 상품이 아니라 국채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트럼프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이 지난해 11월 펴낸 일명 '미란 보고서'에도 미국이 국채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외국 채권자들에게 '100년 만기 무이자 채권'을 매입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같은 전략을 거부할 경우 미국의 안보 우산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도 보고서에 실렸다.

또 이날 미국과 일본 양국이 되도록 조기에 관세 합의를 이뤄내고, 정상이 결과를 발표하기로 합의해 다음주 진행하는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다.

권희진 KB증권 연구원은 "현재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대체로 미란 보고서 내용 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국은 외환보유액 규모도 크고 그 중 달러화 비중도 높아 단기 미국채를 매도하는 대신 100년 만기 또는 영구채와 같은 초장기 미국채를 매입하거나 달러 대비 원화의 강세를 유도할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