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6개 美증시 상장
미국 정가에서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사용할 무기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재무 장관은 지난 9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중국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 퇴출 가능성에 대해 "난 모든 게 테이블 위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케빈 오리어리도 지난 11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상장 폐지가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오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릭 스콧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 문제를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의 자본 시장은 전 세계 기업에 비할 데 없는 자금 조달 기회를 제공해 세계가 부러워한다. 하지만 이 특권에는 책임이 따르는데 그 중 핵심은 투명성과 우리 금융 공시 규정의 준수하는 것"이라며 "중국 기업들이 우리 규정을 따르기를 거부하면서 계속해서 미국 자본에 대한 접근을 누린다는 게 걱정된다"고 밝혔다.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C)에 따르면 지난 3월 7일 기준 미국 증시에 중국 기업 286개가 상장됐으며 이들의 총 시가총액은 1조1천억달러에 달한다.
중국 기업 상장 폐지 방법은 다양하다. 미국은 2020년 외국 회사문책법(HFCAA) 제정을 통해 미국 회계 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중국 기업을 퇴출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회계 당국의 감사에 2년 연속 제대로 응하지 않는 중국 기업은 상장 폐지할 수 있다. 다만, 시간이 소요된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