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700조원 AI 플랜' 韓기업 앰코테크놀로지 참여

입력 2025-04-15 17:09:27 수정 2025-04-15 20:43:09

세계 2위 반도체 패키징 업체
美 현지 9만3천㎡ 제조 공간서 4년간 슈퍼컴퓨터 개발·생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연례 개발자 회의(GTC 2025)가 열리고 있는 미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가진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연례 개발자 회의(GTC 2025)가 열리고 있는 미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가진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공지능(AI) 반도체 제조업체 엔비디아가 미국에서 최대 5천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AI 칩 제조뿐만 아니라 AI 슈퍼컴퓨터 등 AI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미국에서 제조하겠다는 것이다. 엔비디아는 이날 블로그를 통해 이런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100만 평방피트(9만3천㎡) 이상의 제조 공간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최신 AI 칩 블랙웰을 이미 애리조나 피닉스에 있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또 현재 앰코 테크놀로지, 실리콘웨어 정밀산업과 패키징 및 테스트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텍사스에서는 폭스콘, 위스트론과 함께 슈퍼컴퓨터 제조 공장을 건설 중이며, 향후 12∼15개월 안에 대량 생산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생산이 미국 내에서만 제조되는 AI 슈퍼컴퓨터의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AI 연산을 처리하는 데이터 센터에 사용된다. 아울러 이 제조 시설의 설계와 운영을 위해 자사 기술을 활용해 공장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고, 맞춤형 자동화를 위한 로봇도 자체 제작할 예정이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미국 내 제조 역량을 확대함으로써 AI 칩과 슈퍼컴퓨터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맞추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회복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상호관세를 두고 협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지난 11일 칩과 스마트폰, 컴퓨터, 기타 기술 제품 및 부품들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수입 반도체에 대한 새로운 관세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애플부터 일라이 릴리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제조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런 계획 중 상당수는 이미 진행 중이었거나 이전의 지출 추세를 따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