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물가, 소비자물가 0.21%p 올려
가계 지출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사립대를 중심으로 대학교 등록금이 오른 여파가 국공립대와 전문대로 퍼졌고, 유치원비도 9년여 만에 가장 크게 뛴 영향이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교육 물가는 1년 전보다 2.9%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교육 물가는 전체 소비자물가를 0.21%포인트(p)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결국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 납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랐다. 2009년 2월 7.1%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울산·경남이 5.6%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인천·경기(5.5%)가 뒤를 이었다. 제주(0.1%)가 상승률이 가장 낮았고 전남·전북·광주(3.7%)가 그다음이었다.
국공립대 납입금은 1.0%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국공립대 납입금은 2022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36개월 동안 상승률이 0%였다가 지난달 처음 올랐다. 국공립대 납입금은 서울·인천·경기(1.6%)과 대구경북(0.4%) 외 나머지 시도에서는 오르지 않았다.
대학원 등록금도 올랐다. 사립대학원 납입금은 3.4%, 국공립대학원 납입금은 2.3% 올랐다. 두 항목 모두 2009년 2월(사립대 6.5%·국공립대 7.8%) 이후 최대폭 상승했다. 전문대 납입금도 3.9% 상승했다. 역시 2009년 2월 7.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유치원 납입금도 4.3% 올랐다. 2016년 2월 8.4% 상승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유치원 납입금은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보다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전남(24.3%)과 강원(15.7%), 부산(14.7%), 경북(12.1%) 등에서 크게 상승했다.
반면 울산시교육청의 사립유치원 무상 정책 영향으로 울산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74.3% 하락했다.
가정학습지 물가는 11.1% 올랐는데 이는 1996년 12월 12.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러닝 이용료도 9.4% 상승률을 나타냈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5년 1월 이후 최대폭 상승률이 계속되고 있다.
3월 초등학생학원비(2.0%)·중학생학원비(1.2%)·고등학생학원비(1.0%)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2.1%)보다는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음악학원비(2.2%)·미술학원비(2.9%)·운동학원비(3.9%)는 상승률이 높은 편이었다. 특히 운동학원비는 올해 3% 후반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5학년도 1학기 등록금 인상은 내년 2월까지 매달 전년 대비 전체 물가(헤드라인)에 상승 기여로 반영된다"며 "전례 상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2학기에 등록금을 올릴 경우 그만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에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
김부선 "尹 참 안됐다…집안에 여자가 잘 들어와야 하는데"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국힘, 이번 대선에 책임…대선 후보 내지 마라" 野 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