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가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애플·삼성전자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생산업계는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현실화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미국 정부가 막대한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지렛대로 삼은 뒤 엄포에 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트럼프 정부가 특히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중국·동남아 지역에서 생산하는 생필품의 가격이 급상승했을 때 미국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다만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자국 보호주의를 빌미로 트럼프 정부가 애플에만 관세 면제 혜택을 줄 수 있다.
고가품이지만 필수품이 된 스마트폰 가격이 급등하면 미국 소비자 불만이 폭등할 수 있는 데다, 애플이 거액의 투자를 약속하며 트럼프 정부에 구애해온 만큼 관세 예외 품목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폭넓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애플의 일부 제품에 대해 면제나 유예 조치한 전례도 있다.
삼성전자는 최대 경쟁사인 애플이 상호관세 수렁에서 벗어나게 되면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은 그간 기반을 마련해온 생산기지 다변화 정책을 십분 활용하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와 업계 진단이다. 베트남 상호관세율이 46%로 낮지 않은 상황에서 관세가 각각 26%, 10%, 25%로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 브라질, 한국 등을 대미 생산기지로 대체 활용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르면 7월 말 공개되는 새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될 관세 대응책에 대해 "아직은 구체적으로 정해진 사안이 없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치유의 시간 하루면 족해, 30년 정치인생 마지막 사명으로 철저히 준비"
문형배 "탄핵심판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한 언론인·경찰에 감사"
한덕수, '중도보수 통합' 대안 주자 부상…"이재명과 맞설 유일한 카드" 주목
[단독] '애국가 아이돌' 이철우 경북도지사, '장미대선' 나간다…출마 무게두고 고민 중
대구시장·경북도지사 첫 동반 대선 출사표…TK 민심 어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