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 대권주자 꼽히는 이재명, 조만간 대표직 사퇴할 듯
이 대표 물러날 경우 박찬대 원내대표가 권한대행
조기대선까지 시간 촉박, 경선은 압축적이고 빠르게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파면을 선고받으면서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대선 준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로 꼽히는 만큼 즉각 대표직을 사퇴해 당내 경선 준비에 돌입할 전망이다.
4일 헌법재판소가 전원일치 의견으로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면서 조기대선 레이스가 본격 시작됐다. 공직선거법 35조에 따르면 대통령이 궐위한 경우 선거는 60일 이내 치러야 한다. 이에 조기 대선은 아무리 늦어도 4월 4일부터 60일 뒤인 6월 3일 화요일 이전에 치러져야한다.
'60일'이라는 촉박한 시간을 고려했을 때 민주당은 곧바로 선거관리 모드에 돌입할 예정이다. 유력 대권 주자로 꼽히는 이 대표 입장으로선 하루빨리 대표직에 물러나야 조기 대선 플레이어로 뛸 수 있다.
현재 민주당 당헌은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의 사퇴 시한을 '대통령 선거일 전 1년까지'로 규정하고 있지만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당무위 의결로 시한을 달리할 수 있게 했다. 이번에 치러지는 조기 대선은 현직 대통령 파면에 따라 진행되는 특수한 상황임을 고려했을 때 '1년 전 사퇴' 규정은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대표직에서 물러나게 되면 당무는 박찬대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책임질 전망이다.
당내 경선은 압축적이고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지난 20대 대선을 앞두고 2021년 9월에 시작된 대선후보 경선 때에는 한 달여에 걸쳐 전국 11개 권역에서 순회 경선을 치렀지만 이번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전국을 일일이 순회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라는 게 당내 주요 시각이다.
앞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대선 후보 경선에서도 민주당은 전국을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제주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순회 경선을 한 뒤 12일 만에 경선을 마쳤다.
다만 선거인단 구성을 놓고 경선 후보 간 줄다리기가 펼쳐질 가능성은 있다. 민주당은 그간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안과 완전국민경선제로 후보를 선출하는 안을 두고 고민을 거듭 이어왔다. 친명(친이재명)계는 전자를, 비명(비이재명)계는 후자를 선호할 확률이 높으면서 공방이 일어날 수도 있다.
경선을 관리하는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에 누가 이름을 올릴지도 관심사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친명 색채가 옅은 중립적인 인물이 위원장직을 맡아야 선거 관리 중립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
윤 전 대통령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