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새벽 대상국·품목·규모 발표…국내 기업 60% 트럼프 폭풍 직면
韓대행, 4대그룹 총수와 TF회의 …"美상호관세에 긴급 지원조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발표가 2일(현지시간)로 다가오면서 국내 산업계 전반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의 통상 압박이 가시화되자 정부는 경제안보전략TF를 가동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고, 제조업계는 관세 리스크에 따른 직간접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동부 시간 기준 2일 오후 3시(한국 시간 3일 오전 4시)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열고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과 품목, 규모 등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한국은 이미 무역적자국으로 지목된 상태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같은 날 발표한 '2025 무역장벽 보고서'에서 한국의 방위산업 우선 조달 정책을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지정했다. 미국산 소고기 수입, 자동차 인증제도, 지식재산권,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승인 절차,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망 사용료 부과 등도 문제로 재차 언급됐다.
국내 산업계는 미국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국에 대해 상호관세를 상당 부분 부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이 이번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의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응책을 마련한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다. 특히 대구경북의 차부품 기업과 철강 기업은 당장 이달 적용받는 관세에 상호관세까지 부과될 경우 수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에 놓였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1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경제안보전략TF 첫 회의를 열고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최태원 SK그룹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들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한 권한대행은 "자동차산업 등 피해 우려 업종에 긴급 지원 조치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상호관세 발표 이후에는 민관이 원 팀이 되어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미국 주요 인사들과의 전방위적 접촉을 통해 우리 입장을 설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4대 그룹은 이에 공감하며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통상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 권한대행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했다. 한 권한대행은 "법안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 입법 과정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협의가 부족했다"며 "정부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대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