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규 채용 계획을 세운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00인 이상 기업 500곳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60.8%가 '올해 신규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신규채용 계획 있음' 응답률은 2022년(72.0%) 이래 3년 연속 하락했다. 2023년엔 69.8%, 작년엔 66.8%였다.
올해 '신규채용 여부 미정'은 22.4%, '계획 없음'은 16.8%로 각각 집계됐다.
경총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 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기업이 채용에 보수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그 규모를 묻자 '작년과 유사하다'가 50.7%, '작년보다 확대한다'는 13.8%였다. '미정'이 26.3%, '작년보다 축소'는 9.2%다. 또 채용 규모가 작년과 유사하거나 축소되는 이유로는 '경영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보수적 인력 운영 계획'(59.8%) 가장 많이 꼽혔다.
채용 방식에 대해선 '수시 채용만 실시'가 70.8%로 가장 많았고 '정기 공채와 수시 채용을 병행'(22.6%), '정기 공채만 실시'(6.6%)이 뒤를 이었다. 채용 시기는 '특정 시기 없이 인력 수요 발생 시' 응답이 85.8%로 압도적이었다.
평가 요소로는 '직무 관련 업무 경험'(81.6%)이 최다 표를 받았는데 2023년 조사(58.4%)와 비교하면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채용이 시급한 직무로는 '제조·기술·기능'(26.0%), '생산관리'(25.8%), 'ICT(정보통신기술)·R&D(연구개발)'(22.2%), '기획·마케팅'(17.0%), '인사·재무'(12.2%) 순으로 꼽혔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최근 내수 부진 심화, 미국발 관세전쟁 우려 등으로 채용시장이 작년보다 더 얼어붙을 것"이라면서 "정부는 추경 등을 통해 미취업 청년들에게 일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재정 지원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치유의 시간 하루면 족해, 30년 정치인생 마지막 사명으로 철저히 준비"
한동훈 "언제나 국민과 함께…더 좋은 대한민국 만들자"
조기대선 일정은? 사전투표 5월 29~30일, 본투표 6월 3일 전망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