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원하는 정부 대책은 대출 상환 유예"

입력 2025-02-25 17:22:45 수정 2025-02-25 20:52:11

매출은 줄고 대출만 늘어…위기의 자영업자 숨통 트이나

25일 서울 한 상점에 임대광고가 붙어 있다. 이 상점은 지난 2022년 9월 개업했지만 3년도 안 돼 폐업했다. 한편 한국경제인협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매출, 순이익 등 사업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
25일 서울 한 상점에 임대광고가 붙어 있다. 이 상점은 지난 2022년 9월 개업했지만 3년도 안 돼 폐업했다. 한편 한국경제인협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매출, 순이익 등 사업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가운데 속도감 있는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의 대출 숨통이 다소 트일지 관심이 쏠린다.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이 지난해 전년보다 매출 감소

25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72.6%가 2024년 매출이 2023년 대비 줄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감소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의 평균 감소폭은 12.8%로 조사됐다.

지난해 순이익도 직전 해 대비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72.0%에 달했고, 감소폭은 평균 13.3%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순이익이 줄어든 셈이다.

자영업자 절반 이상이 올해도 사업 실적 악화를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매출 전망이 지난해 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자영업자는 61.2%였다. 평균 매출 감소폭은 6.5%로 전망했다.

올해 순이익 전망도 지난해 대비 줄어들 것이란 응답자도 62.2%였다. 자영업자들은 평균 7.2%가량 순이익이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심상치 않다. 경기 둔화로 저소득은 물론 중소득·고소득 자영업자도 연체율이 치솟고 있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소득(상위 30%) 자영업자의 지난해 3분기 말 대출 연체율은 1.35%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5년 1분기(1.71%)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안내문. 연합뉴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심상치 않다. 경기 둔화로 저소득은 물론 중소득·고소득 자영업자도 연체율이 치솟고 있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소득(상위 30%) 자영업자의 지난해 3분기 말 대출 연체율은 1.35%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5년 1분기(1.71%)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안내문. 연합뉴스

◆빚 부담에 문 닫는 자영업자…평균 1억2천만원 대출

같은 조사에서 자영업자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경영 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자영업자들은 지난해 기준 평균 1억2천만원의 대출금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월 이자는 84만3천원,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었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 4.7%, 소액대출 금리도 6.9%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 자영업자들이 예금은행 이외에 제2금융권(비은행금융기관) 등에서 대출을 받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처럼 상황이 어렵다 보니 자영업자 10명 중 4명 넘게(43.6%)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폐업을 생각하게 된 주된 이유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등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자영업자가 필요로 하는 가장 주요한 정부지원 대책으로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가 꼽혔다. 이어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 줘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로 결정하자 소상공인들은 대출 부담 감소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구 달성군 한 고깃집 사장 배모(67) 씨는 "장사를 하다 보니 금융 이자가 매장 월세보다 많아진 상황에 처했다"며 "재고를 정리하고 곧 문을 닫을 예정인데, 조금이라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아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