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3대 게임체인저 기술수준' 분석 보고서
국내 반도체 기술 수준이 2년 만에 중국에 뒤처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23일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주요 기술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의 반도체 기초 기술역량이 대부분 중국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봤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은 한국이 90.9%로 중국(94.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한국 84.1%, 중국 88.3%) ▷전력반도체(한국 67.5%, 중국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 기술(한국 81.3%, 중국 83.9%) 등 주요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이 대부분 밀렸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만 유일하게 한국과 중국이 동일한 수준(74.2%)으로 평가됐다.
반도체 기술의 사업화 수준을 따져봤을 때도 한국이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에서만 중국을 근소하게 앞섰다.
평가원 측은 "반도체 기술 전반을 대상으로 한 생애주기 평가에서는 한국이 제조 공정과 양산 부문에서는 중국보다 우위에 있지만, 기초·원천 및 설계 부문에서는 중국에 밀리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지난 2022년 기술수준평가에 응했던 인사들로, 당시에는 일부 기술에서 한국이 중국을 앞선다고 평가했으나 2년 만에 뒤집힌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향후 한국 반도체 산업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핵심 인력 유출 ▷AI 반도체 기술 ▷미·중 기술 패권 경쟁 ▷각국의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을 꼽았다.
이 중 AI 반도체 기술만이 한국의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요소로 평가됐다.
댓글 많은 뉴스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 "공수처, 위법 수사 드러나"…서울중앙지법 영장 기각 은폐 의혹 제기 [영상]
이재명 '중도보수' 논란에 "DJ·文도 말했다…흑백만 있는 것 아냐"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