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권 정치인 신뢰도 낮아…개헌 찬성 과반 근접, 4년 중임 대통령제 선호

입력 2025-02-10 18:30:00 수정 2025-02-10 20:03:13

제도권 정치인 신뢰도 19.8%, 비제도권 집회 주도 인물 37.6%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개신교계 목사 등 집회 주도 발언 영향 가능성
개헌 필요성 찬성 49.5%…4년 중임 대통령제 방식 선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평가…부정 54.0% 긍정 39.7%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지난 8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세이브코리아 주최 국가비상기도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지난 8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세이브코리아 주최 국가비상기도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국회의원 등 제도권 정치인보다 장외 집회에서 발언 등을 통해 정치역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들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에 대해선 찬성이 과반에 가까웠고, 4년 중임제 방식을 가장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매일신문이 여론조사 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9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를 실시한 결과 제도권 정치인 신뢰도는 19.8%에 그쳤지만 비제도권 집회 주도 인물에 대한 신뢰도는 37.6%에 달했다.

집회에 참석해 연설 등을 주도하는 인물을 더 신뢰한다는 응답의 경우 연령별로는 60대(45.4%)에서 가장 높았고, 보수적일수록(보수 51.9%, 중도 32.7%, 진보 23.0%) 더 신뢰감을 느끼고 있었다.

한길리서치 관계자는 "제도권 정치인에 대한 신뢰가 제도권 밖 인물보다 낮은 것은 현재 정치 상황에서 대한민국 정치와 정치인에 대한 위기로 봐야 한다"고 했다.

대통령제 등 개헌 필요성 질문에 대해선 49.5%가 찬성했고 33.8%가 반대, 모름은 16.7%로 나타났다. 개헌 찬성 응답자의 경우 연령별로 50대 이상(50대 52.7%, 60대 53.5% 70대 이상 52.8%)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충청과 호남이 각각 60.8%, 60.5%로 높았고,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가 53.7%, 중도는 53.6%로 나타났다.

개헌을 할 경우 바람직한 권력구조로 4년 중임 대통령제가 57.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통령은 외치, 총리가 내치를 하는 이원집정부제 10.1%, 의원내각제 8.3% 순이었다.

한길리서치 측은 "개헌을 할 경우 4년 중임 대통령제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을 감안,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추진할 경우 개헌에 대한 찬성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치개혁 차원에서 중대선거구제 필요성에 대해서는 36.6%가 찬성했고 24.3%가 반대했다. 다만 잘 모름이 39.1%에 달했다.

중대선거구제 찬성의 경우 남성이 41.4%로 31.9%인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역별로는 충청권과 인천·경기가 각각 45.8%, 40.0%로 높았고 정치성향별로는 진보가 40.1%를 기록했다.

한길리서치 관계자는 "잘 모르겠다(보류)는 의견이 많은 것은 정치개혁 관련 선거구 제도에 대한 충분한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최상목 경제부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직 수행평가에 대해서는 긍정 39.7%, 부정 54.0%를 기록했다.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연령별로 70대 이상(54.7%), 60대(47.8%)에서 높았고, 지역별로는 충청(47.5%), 대구경북(45.6%), 부산울산경남(41.5%) 순이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연령별로는 40대(64.6%), 50대(63.1%), 20대(58.2%) 순이었고, 지역별로는 호남(56.9%), 인천경기(55.4%)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