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서 尹과 합치되는 증언
金 "케이블타이, 문 봉쇄 목적"…곽종근 "인원=의원이라 이해"…尹 "곽, 김병주TV서 탄핵 공작"
尹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어"…정치인 체포 의혹 전면 부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에 12·3 비상계엄 당시 군 핵심 인사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곽종근 전 육군 특전사령관이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비상계엄의 위헌성을 가를 진실 공방이 본격화됐다. 핵심 쟁점인 '국회 봉쇄' '정치인 체포 지시'와 관련해 윤 대통령 측과 합치되는 증언이 추가로 잇따라 제기되면서 중대한 국면 전환이 나타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6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을 열고 김 단장과 곽 전 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에 대한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된 김 단장은 윤 대통령 측 증인으로 출석해 "제가 받은 임무는 (국회의) 봉쇄 및 확보였다"며 "(부대원들에게) 국회의사당과 의원회관을 봉쇄해 건물을 확보하라고 했다"고 밝혔다. 봉쇄에 대해선 '방어 지시'였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매뉴얼에 따라 외부로부터 오는 테러리스트 등 적의 위협을 차단한다"는 취지였다는 것이다.
그는 '적법한 출동이었느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 "지금은 그렇다고 생각한다"며 "본회의장에 들어갈 의사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앞서 지난 4일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이 "비상계엄을 적법한 작전 지시로 이해했고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저지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증언한 것과 유사한 맥락이다. 지난달 23일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윤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법관 체포 지시를 받지 않았으며 포고령 위반 우려가 있는 인원들의 동정을 살피라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국회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 창문을 깬 점과 관련해서도 곽 전 사령관이 지시한 것은 아니라고 답변했다. 정문에 사람이 많아 본인 판단으로 창문을 깨고 진입했다는 것이다.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가 있었느냐는 질문엔 "제가 기억하기엔 그런 지시가 없었고, 있었다고 한들 안 됐을 것"이라고 답했다. 출동 당시 가져간 케이블타이에 대해선 문을 봉쇄하려던 것이고 대인 용도가 아니었다며 '체포조' 운영 의혹도 일축했다.
두 번째 증인으로 출석한 곽 전 사령관은 이날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사람들을 빨리 데리고 나오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본관 안에는 작전 요원들이 없었다"며 "그 상태에서 전화받았기 때문에 말씀하신 의결정족수 문제, 안에 들어가 있는 인원을 빨리 끌어내란 부분이 당연히 의원이라고 이해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곽 전 사령관 증인신문이 끝난 뒤 직접 발언권을 얻어 의원 체포 지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윤 대통령은 "제가 그저께와 오늘 상황을 보니까 12월 6일 홍장원의 공작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TV' 출연부터 바로 이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특전사령관에게 전화한 것은 당시 TV 화면으로 국회 상황이 혼잡해서 현장 안전 문제에 대해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내가 '인원'이라고 얘기했다고 하는데, 사람이란 표현을 놔두고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란 말을 써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
[시대의 창-김노주] 영국 '타임스'가 본 2·28민주운동
[단독] 'EBS 이사장' 유시민 누나 "배임 기소된 적 없어"…거짓 해명 들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