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대경본부 보고서
대구경북 수출이 2000년 이후 25년간 연평균 4%대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수출 연평균 성장률(5.9%)를 밑도는 수치로 산업 트렌드 변화에 맞춰 수출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이하 무역협회 대경본부)가 발간한 '대구경북 수출구조의 변화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 수출이 3.94배 성장하는 동안 대구는 3.12배, 경북은 2.58배에 그쳤다. 지난해 전국 수출이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반면 대구는 지역 수출액 최고기록을 달성한 2023년 대비 19.4% 역성장했다. 경북의 경우 최고 기록인 2013년(538억 달러)에 비해 무려 23.6% 수출액이 줄었다.
전국 수출에서 대구경북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하락해 대구는 지난해 17개 지자체 가운데 12위(수출차지 비중 1.3%), 경북은 8위(5.9%)에 머물렀다.
무역협회 대경본부는 지역의 주력 수출 품목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구의 1위 수출 품목은 폴리에스터 직물에서 자동차부품, 기타정밀화학원료(2차전지 소재)로 변했다. 이는 섬유산업에서 기계 및 화학공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재편성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경북의 주력 수출 품목은 기존 무선전화기와 더불어 무선통신기기 부품으로 영역이 확대됐다. 또 경북의 양대 성장 축이었던 철강금속의 비중이 축소되는 대신 2차전지 소재를 포함한 화학공업이 성장했다.
또한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노력도 요구된다. 조사 기간 중 수출 상위 20위개 국가의 수출 비중은 전국 1.5% 포인트(p)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대구 경북은 무려 각각 9.4%p(76.6%→86.0%), 4.1%p(85.6%→89.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과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아 향후 두 국가의 무역분쟁이 심화될 경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권오영 무역협회 대경본부장은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구조 재편이 필요해 보인다"며 "트럼프 2기 무역갈등이 악화되면 중국과 미국에 대한 높은 수출의존도와 중간재 위주의 수출, 지역의 미국에 대한 흑자 규모 등을 감안할 때 지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이어 "지역 수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 및 초보 수출기업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정책을 수립해 어려운 시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