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1월 전국 소매판매 2.1% 감소…대구는 -4.5%
내구재, 준·비내구재 소비 2년째 모두 감소…통계 집계 이래 처음
지난해 소매판매액이 '신용카드 대란' 사태로 소비가 얼어붙은 2003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소비 부진이 내구재·비내구재·준내구재 등 상품 종류를 불문하고 전방위적으로 나타난 탓이다.
심지어 대구는 역대 가장 높은 4.5%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코로나19 팬데믹 때보다 더욱 얼어붙은 상황이다.
이처럼 소비 침체가 이미 고착화된 상황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와 그 후폭풍, 고환율 악재까지 겹쳐 올해도 내수 부진이 쉽게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전국 소매판매액 지수는 101.3(2020년=100)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1% 줄었다. 이는 역대 1~11월 기준으로 2003년(-3.1%) 이후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이 당시에는 무분별한 신용카드 발급·대출로 이른바 '카드 대란' 사태가 발생하면서 소비 절벽이 가속화한 바 있다.
대구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1~3분기 대구의 소매판매액 지수는 92.2로 2023년에 비해 4.5% 줄었다. 이 감소율은 관련 통계가 지역별로 공시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역별 소매판매액 지수는 분기 기준으로만 공시된다.
대구에서 소매판매액 지수 감소율이 가장 높았던 때는 코로나19가 시작됐던 2020년(-2.9%)이다. 대구는 물론 전국의 소비 심리가 역대급 수준으로 위축된 것이다.
이번 소비 절벽은 ▷자동차·가전 등 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를 포함한 모든 상품군에서 예외 없이 나타난다. 지난해 1~11월 전국 내구재와 준내구재·비내구재 소비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 3.7%, 1.3% 감소했다.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동반 감소다. 이는 199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모든 상품군 소비가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바로 이듬해 반등했다.
소비의 다른 한 축인 서비스 소비도 둔화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1~11월 서비스 생산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회복세가 뚜렷했던 서비스 생산 증가율은 1~11월 기준으로 2022년 정점(6.9%)을 찍은 뒤 2023년 3.4%로 둔화한 데 이어 지난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올해도 내수 부진은 쉽게 회복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상계엄 충격과 고환율 악재가 겹치면서 소비자가 지갑을 닫고 있어서다. 기업 역시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투자 등을 보류하는 모습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민전, 주선한 백골단 기자회견 철회 "기자회견자 정확한 정보·배경 파악 못해 송구"
尹측 "나라 반듯하게 하려 계엄…이번 혼란만 넘기면 성공"
탄핵 한 달 만에 與 지지율 증가…조급한 野 헛발질에 등 돌린 민심
이재명 "법 집행자들이 법 파괴, 용서 안 돼…채해병 특검법 재추진"
일반인 카톡 검열 논란에 여야 MZ 설전…"공산당식 통제 vs. 불법 방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