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악성'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도 비상
대구 아파트 가격이 59주 연속 하락하고 있다. 2023년 11월 셋째 주(-0.01%)부터 시작된 내림세가 1년 넘게 계속 이어진 셈이다. '악성'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에도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3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가격이 7주 연속 하락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 가격도 보합(0.00%)으로 전환됐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이 멈춘 건 지난 3월 넷째 주 이후 41주 만이다.
같은 기간 대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13% 하락하며 59주 연속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 조사(-0.11%)보다 높아졌고 전국에서도 가장 컸다. 지역별로는 달성군(-0.21%) 다사·화원읍, 달서구(-0.16%) 용산·이곡동, 중구(-0.15%) 남산·대신동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지난 조사에서 0.02% 하락한 경북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조사에서도 0.03%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전국이 보합(0.00%)을 이룬 가운데 대구와 경북은 각각 -0.10%, -0.05%를 기록했다. 경북의 경우 김천(0.12%), 문경(0.10%) 등은 올랐으나 포항 북구(-0.18%), 구미(-0.14%)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대구의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누계는 -4.99%를 기록했다. 2023년 -8.57%보다는 줄었으나 2년 사이 13% 넘게 하락했다. 전세가격 변동률 누계는 -3.88%로 2023년(-12.90%)보다 크게 줄었다. 경북은 매매 -1.15%, 전세-1.78%를 나타냈다.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증가세도 심상찮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미분양 아파트는 8천175가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악성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는 1천812가구로 22.17%를 차지했다. 전체적인 미분양 아파트는 8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지만 준공 후 미분양은 10월(1천579가구)보다 14.76% 늘었다.
송원배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 이사는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는 부동산 시장의 잠재된 큰 악재로 꼽힌다"며 "미분양보다 더 심각한 것이 준공 후 미분양인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관심을 가지고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