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첨단기업 433곳 대상 규제 체감도 조사

국내 첨단기업의 절반 이상은 우리나라의 첨단산업 규제 수준이 경쟁국보다 과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바이오·배터리·반도체 등 첨단기업 433곳을 대상으로 규제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첨단산업 규제 수준이 경쟁국보다 과도하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 응답 기업의 53.7%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경쟁국과 비슷하다는 기업은 23.7%, 과도하지 않다는 기업은 22.6%였다.
업종별로 경쟁국보다 규제가 강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2차전지 58.2% ▷바이오 56.4% ▷반도체 54.9% ▷디스플레이 45.5% 순이었다.
응답 기업의 72.9%는 규제 이행이 부담된다고 답했다. 규제 이행이 수월하다는 기업은 2.7%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바이오 분야(83.6%)의 부담이 가장 컸고, 2차전지는 73.6%,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각각 67.3%가 부담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규제 이행이 어려운 이유로 '규제가 너무 많아서'(32.8%)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이어 높은 규제 기준(23.1%), 과도한 자료 제출 부담(21.8%), 교육 등 과도한 의무사항(11.1%) 등이 뒤를 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앞으로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첨단전략산업 분야의 규제 개선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며 "국가 경제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분야인 만큼 현재 국회에 계류된 첨단전략산업기금법, 반도체특별법, 조세특례제한법 등의 조속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