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하천 100km마다 수위관측소 8.6개, 지방하천은 1.4개…6배 차이
김형동 "지방하천 수위관측소 설치 확대 통해 홍수 피해예방과 국민 안전확보 만전"
홍수 조기예보를 위한 수위관측소가 국가하천 위주로 설치돼 있고 지방하천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김형동 의원(안동예천)이 14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가하천 73곳 중 수위관측소가 310개가 설치돼 있지만 지방하천 3천767곳 중 수위관측소는 363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관측소는 강수량 관측소와 함께 전국 주요 하천에 설치되어 홍수를 조기에 예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동안 하천 규모가 큰 국가하천을 우선으로 수위관측소를 설치하고 홍수예보 시스템을 구축해 오면서 상대적으로 지방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율이 낮아진 상태다.
하천의 길이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국가하천은 100km마다 수위관측소가 평균적으로 8.6개가 설치돼 있지만 지방하천은 국가하천의 6분의 1 수준인 1.4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최근 기후위기로 예상을 뛰어넘는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크게 늘면서 지방하천도 홍수 피해에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앞서 지난 5월 환경부도 지난해까지 전국적으로 12곳에 불과했던 지방하천 홍수특보지점을 130곳으로 확대했으며, 홍수예보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노력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김 의원은 "수위관측소는 홍수 발생을 조기에 예측함으로써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라며 "홍수특보지점 확대와 동시에 지방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를 확대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