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배추 생육 회복 중, 수급 큰 문제 없을 것…내달 본격 공급"

입력 2024-10-11 13:12:00

김장용 배추 이달 말 시장 유통…내달 상순부터 본격 공급

10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양배추가 진열돼 있다. 김장철을 앞두고 배춧값이 고공행진 하면서 대체 채소가 인기를 끌고 있다. 소비자들이 가격이 뛴 배추 대신 양배추나 양상추 등의 대체재로 김치를 만드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10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양배추가 진열돼 있다. 김장철을 앞두고 배춧값이 고공행진 하면서 대체 채소가 인기를 끌고 있다. 소비자들이 가격이 뛴 배추 대신 양배추나 양상추 등의 대체재로 김치를 만드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정부가 배추 생육이 회복하고 있어 앞으로는 수급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가을배추 생육 점검을 위한 전화회의에서 농촌진흥청, 시도 원예농산물 팀장, 주산지 농협, 대한민국 김치협회 등 모든 참석자가 현재 배추 생육에 좋은 기온이 지속되고 있어 지난달 중하순의 초기 작황과 비교할 때 생육이 회복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다만 충북·경북·강원 지역 참석자들은 정식(밭에 모종을 심는 일)기 고온으로 생육 초기 작황이 부진했던 만큼 생산량이 다소 감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장은 통상 기온이 쌀쌀해지는 11월 상순에 강원도 지역에서 시작돼 12월 중순에 남해안 지역에서 마무리된다. 김장용 배추는 10월 말부터 시장에 유통되고 11월 상순부터 본격적으로 공급된다.

최근 배추 출하 지역이 강원에서 충북·경북으로 확대돼 도매시장 배추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고공 행진하던 도매가격은 내림세로 전환했다.

가락시장 배추 반입량은 지난 2일 355t(톤)에서 10일 637t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배추 도매가격은 상품 기준 한 포기 9천29원에서 6천710원으로 하락했다.

농식품부는 이어 "11월과 12월에 가정에서 김장으로 사용하는 배추는 현재 생육 적온에서 자라고 있어 수급에 큰 문제는 없을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배추 가격이 내림세로 전환 중이지만, 여름배추 작황 부진으로 이달까지는 공급량이 부족하다"면서 작황 관리에 힘써달라고 지방자치단체와 농업유통법인연합회 등에 당부했다.